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소프트웨어, ‘믿고 맡겨‘
등록일 : 2007.02.20
미니플레이
컴퓨터를 이용하려면 여러 종류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합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다가 개발업체가 파산하기라도 하면 사용자는 고스란히 피해를 떠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정부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임치제도`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문현구 기자>

컴퓨터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업체가 부도라도 나면 어떻게 유지보수를 해야 할까.

소프트웨어 사용자들이 가장 염려하는 부분입니다.

실제로 소프트웨어 개발기업인 A사는 얼마 전 외국기업에 소프트웨어 수출 계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 외국기업이 원천프로그램 및 기술정보 등을 요구해 계약체결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외국기업 입장에선 혹시라도 소프트웨어 개발기업이 망하면 유지보수가 어려워지는 것을 알기 때문에 이같은 요구를 하지만, 개발사의 입장에선 잘못하면 기술이 유출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던 중 A사는 `소프트웨어 임치제도`에 대해 알게 됐으며, 이를 통하면 만약 개발기업이 폐업 또는 파산해도 안정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하다고 외국기업을 설득해 수출계약을 체결할 수 있었습니다.

`소프트웨어 임치제도`란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사용자간 합의하에 제3의 기관에 각종 기술자료를 예치해, 양측에서 필요할 때마다 쓸 수 있게 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99년부터 소프트웨어 임치제도가 시작된 후 지난 2004년까진 그 이용건수가 많지 않았으나 지난 2005년 이후의 이용건수가 전체의 65%를 차지하는 등 근래 그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이용률이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소프트웨어 임치제도를 이용하기 위해선 정보통신부 산하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에 신청하면 되며, 연간 이용료는 30만원, 기술정보 갱신료는 5만원입니다.

정보통신부는 올 한 해 소프트웨어 임치제도를 유관기관과 협조해 기업과 개인 이용자 등에게 널리 알려 제도의 활성화를 이끌어 낸다는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