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고령화 대비 `시급`
등록일 : 2007.02.13
미니플레이
우리 사회의 고령화 현상, 노동시장도 대책이 시급합니다.
노동시장의 고령화는 곧 생산성 저하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박영일 기자>
2005년 현재 우리나라의 고령화 정도는 9.1% 인구 10명 당 1명은 65세를 넘어섰다는 것입니다.
이 같은 인구고령화 현상은 노동시장도 예외일 수 없습니다.
노동시장의 고령화는 생산성 저하로 연결됩니다.
평균 퇴직연령도 유럽연합 국가들보다 5년 가량 이른 56세여서, 심각한 노동력부족현상이 우려됩니다.
하지만, 다행스러운 것은 우리나라 고령인구의 노동시장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입니다.
지난 2000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참여율은 미국이 18.5%, 일본 30.7%인 데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35.9%가 소득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같은 결과는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고령인구의 높은 소득활동 참여 의지를 방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확보해 소득활동 기간을 늘리고,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를 창출한다면 노동참여 인구는 더욱 늘어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정부가 최근 2년 빨리 5년 더 일하는 사회 만들기 전략을 발표한 것도 이처럼 고령화 되는 노동시장의 효율성을 높여 노동력 부족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동시장의 고령화는 곧 생산성 저하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박영일 기자>
2005년 현재 우리나라의 고령화 정도는 9.1% 인구 10명 당 1명은 65세를 넘어섰다는 것입니다.
이 같은 인구고령화 현상은 노동시장도 예외일 수 없습니다.
노동시장의 고령화는 생산성 저하로 연결됩니다.
평균 퇴직연령도 유럽연합 국가들보다 5년 가량 이른 56세여서, 심각한 노동력부족현상이 우려됩니다.
하지만, 다행스러운 것은 우리나라 고령인구의 노동시장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입니다.
지난 2000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참여율은 미국이 18.5%, 일본 30.7%인 데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35.9%가 소득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같은 결과는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고령인구의 높은 소득활동 참여 의지를 방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확보해 소득활동 기간을 늘리고,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를 창출한다면 노동참여 인구는 더욱 늘어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정부가 최근 2년 빨리 5년 더 일하는 사회 만들기 전략을 발표한 것도 이처럼 고령화 되는 노동시장의 효율성을 높여 노동력 부족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국정현장 (280회) 클립영상
- 협상 타결 `초읽기` 25:17
- 신속한 후속조치 지시 25:17
- 주택담보대출 심사, 상환능력 위주로 강화 25:17
- 노무현 대통령, 한국상품전 시찰 25:17
- 한-스페인 관광협력 양해각서 체결 25:17
- 한미FTA `일괄타결 시동` 25:17
- 혁신도시 특별법 시행 25:17
- 토지공사, 올해 공동주택용지 `232만평 공급` 25:17
- 외국서 받은 이자수입 첫 100억 달러 돌파 25:17
- 2006년산 쌀 `소득보전 금액 결정` 25:17
- 직장보육시설 설치 및 지원현황 25:17
- 여수 화재 현장 라이터 쇠붙이 발견 25:17
- 아플 땐 `1339` 25:17
- 16일 귀성차량 무상 안전검사 서비스 25:17
- 수입활어 항생물질 함유여부 조사 강화 25:17
- 노동 고령화 대비 `시급` 25:17
- 공무원 채용 `변화` 2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