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노동 고령화 대비 `시급`
등록일 : 2007.02.13
미니플레이
우리 사회의 고령화 현상, 노동시장도 대책이 시급합니다.

노동시장의 고령화는 곧 생산성 저하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박영일 기자>

2005년 현재 우리나라의 고령화 정도는 9.1% 인구 10명 당 1명은 65세를 넘어섰다는 것입니다.

이 같은 인구고령화 현상은 노동시장도 예외일 수 없습니다.

노동시장의 고령화는 생산성 저하로 연결됩니다.

평균 퇴직연령도 유럽연합 국가들보다 5년 가량 이른 56세여서, 심각한 노동력부족현상이 우려됩니다.

하지만, 다행스러운 것은 우리나라 고령인구의 노동시장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입니다.

지난 2000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참여율은 미국이 18.5%, 일본 30.7%인 데 비해우리나라의 경우 35.9%가 소득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같은 결과는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고령인구의 높은 소득활동 참여 의지를 방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확보해 소득활동 기간을 늘리고,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를 창출한다면 노동참여 인구는 더욱 늘어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정부가 최근 2년 빨리 5년 더 일하는 사회 만들기 전략을 발표한 것도 이처럼 고령화 되는 노동시장의 효율성을 높여 노동력 부족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