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수산분야 핵심은?
등록일 : 2007.02.07
미니플레이
이번 달 11일부터 14일 까지 미국 워싱턴에서 한미 FTA 7차 본 협상이 진행됩니다.
그에 앞서 지난 2일 한미 FTA 수산분야에 대한 포럼이 개최 됐습니다.
세계 수산물 수입 2위인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 그 핵심은 무엇이고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자세한 내용 취재했습니다.
2006년 6월 1차 협상부터 이번 달 워싱턴에서 열릴 7차 협상까지 끊임없이 화두가 되었던 한미FTA.
세계바다에 뛰어들게 될 우리 수산분야의 가능성과 협상전략을 알아봅니다.
추가적인 시장개방은 불가피한 상황!
해양수산부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수산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미 FTA 수산분야 협상동향과 대책을 위한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이 날 포럼은 수산분야의 민감한 쟁점들이 본격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7차 협상을 앞둔 시점에서 열린 만큼 그간의 협상전략과 국내대책 준비사항에 대한 열띤 토론이 펼쳐졌습니다.
수산분야는 이미 세계무역기구(WTO)가 발족하면서 개방됐습니다.
다만 얼마만큼 개방하느냐가 문제가 핵심!
수산업은 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감성을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민감품목은 최대한 보호장치를 마련해 우리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협상에 임한다는 방침입니다.
해양수산부는 한미 FTA를 수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자생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계기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또한 한미 FTA는 우리의 수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이끌 수 있는 새로운 기회이기도 합니다.
세계로 열려있는 바다처럼 우리도 세계로 나아갈 때입니다.
황금어장 우리바다의 잠재력을 믿고 과감히 나아간다면 우리 바다의 미래는 더욱 밝아질 것 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에 앞서 지난 2일 한미 FTA 수산분야에 대한 포럼이 개최 됐습니다.
세계 수산물 수입 2위인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 그 핵심은 무엇이고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자세한 내용 취재했습니다.
2006년 6월 1차 협상부터 이번 달 워싱턴에서 열릴 7차 협상까지 끊임없이 화두가 되었던 한미FTA.
세계바다에 뛰어들게 될 우리 수산분야의 가능성과 협상전략을 알아봅니다.
추가적인 시장개방은 불가피한 상황!
해양수산부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수산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미 FTA 수산분야 협상동향과 대책을 위한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이 날 포럼은 수산분야의 민감한 쟁점들이 본격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7차 협상을 앞둔 시점에서 열린 만큼 그간의 협상전략과 국내대책 준비사항에 대한 열띤 토론이 펼쳐졌습니다.
수산분야는 이미 세계무역기구(WTO)가 발족하면서 개방됐습니다.
다만 얼마만큼 개방하느냐가 문제가 핵심!
수산업은 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감성을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민감품목은 최대한 보호장치를 마련해 우리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협상에 임한다는 방침입니다.
해양수산부는 한미 FTA를 수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자생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계기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또한 한미 FTA는 우리의 수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이끌 수 있는 새로운 기회이기도 합니다.
세계로 열려있는 바다처럼 우리도 세계로 나아갈 때입니다.
황금어장 우리바다의 잠재력을 믿고 과감히 나아간다면 우리 바다의 미래는 더욱 밝아질 것 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