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함께 가는 성장,분배
등록일 : 2007.01.30
미니플레이
나라 경제가 발전할수록 불거지는 현상이 바로 분배의 불균형, 즉 양극화입니다.

성장과 분배 중 무엇에 중점을 둬야 하는지 숱한 논란이 제기됐던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성장을 희생하지 않고도 분배 개선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박영일 기자>

경제 발전에 따른 양극화 현상은 우리 경제가 해결해야 할 최대 현안으로 꼽힙니다.

양극화는 70년대 선진국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 경제기조가 확대되면서 발생한 무한경쟁의 산물로 표현됩니다.

즉, 무한경쟁에서 살아남으면 부자의 대열에, 낙오하면 빈자의 대열에 서게 되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레 소득격차에 따른 사회 양극화가 일어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찾는 과정에서 성장을 통한 분배냐 분배를 중심으로 한 성장이냐 하는 이분법적 사고는 많은 논쟁을 빚어왔습니다.

그 속을 보면 성장과 분배는 같이 갈 수 없는 대립관계로 인식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연구 보고서를 통해 성장과 분배는 함께 갈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정부가 직접적으로 개입할 사회정책의 범위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즉, 실업과 의료, 연금 등 사회보험 분야에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빈곤층을 보호해야 하며, 반면 교육이나 주택과 같은 범사회 분야의 정부 개입은 가급적 지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복지재원을 활용한 분야를 명확히 해 소요 재원을 효과적으로 집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보고서는 또 90년대 이후 영국경제가 발전한 것은 사회 서비스를 축소해서가 아니라, 대외개방을 통해 경제 효율성을 증대했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한미FTA 등 시장개방 정책을 잘 활용했을 때 성장과 분배의 동반성장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보고서는 아울러 스웨덴이 적극적인 정책조화에 있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낸 점과 미국의 시장친화적 사회정책 등을 사례로 들어, 경제정책과 사회정책의 조화가 가능함을 강조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