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주거 동시에
등록일 : 2007.01.26
미니플레이
그렇다면 제대군인에게 어떤 것들이 지원될까요?
일자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구직하는 동안 생활 안정을 위해 지원금도 지급됩니다.
또 무주택 제대군인을 위한 대출 혜택도 늘어납니다.
최고다 기자>
정부가 제대 군인을 지원하는데 가장 중점을 둔 분야는 취업입니다.
범정부적인 제대군인 지원인프라 구축을 위해 제대군인 지원위원회를 두고군 경력과 민간 기업의 상호 연계를 통한 일자리 확대에 나섭니다.
군대에서 취득한 특별한 기술과 자격증이 민간기업의 업무에도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 군인연금 비대상 제대군인이 취업시 까지 취업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최장 6개월간 월50만원의 지원금도 지급합니다.
제대군인을 위한 공공분야 일자리는 당장 늘리겠다는 방침입니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산림방재단 등의 공공분야에 제대군인을 위한 일자리 할당제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정부는 제대군인들의 전역 3년 이내 취업률을 현 45%에서 2011년 까지 약 70% 수준까지 끌어 올리겠다는 계획입니다.
또 직업의 특성상 이직이 많아 집을 소유하지 못하는 실정을 해결하기위한 대책도 공개했습니다.
저소득 제대군인의 생활안정을 위해 주택대출을 3천만원에서 5천만원으로 높이는 등 현재 43%의 주택보유율을 일반 국민 수준인 60%로 끌어올린다는 구상입니다.
이러한 사업을 진행하는 데 필요한 예산은 올해부터 2011년까지 약 2천886억원.
정부는 작년 11월 이미 `제대군인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해 예산지원을 추진 중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일자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구직하는 동안 생활 안정을 위해 지원금도 지급됩니다.
또 무주택 제대군인을 위한 대출 혜택도 늘어납니다.
최고다 기자>
정부가 제대 군인을 지원하는데 가장 중점을 둔 분야는 취업입니다.
범정부적인 제대군인 지원인프라 구축을 위해 제대군인 지원위원회를 두고군 경력과 민간 기업의 상호 연계를 통한 일자리 확대에 나섭니다.
군대에서 취득한 특별한 기술과 자격증이 민간기업의 업무에도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 군인연금 비대상 제대군인이 취업시 까지 취업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최장 6개월간 월50만원의 지원금도 지급합니다.
제대군인을 위한 공공분야 일자리는 당장 늘리겠다는 방침입니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산림방재단 등의 공공분야에 제대군인을 위한 일자리 할당제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정부는 제대군인들의 전역 3년 이내 취업률을 현 45%에서 2011년 까지 약 70% 수준까지 끌어 올리겠다는 계획입니다.
또 직업의 특성상 이직이 많아 집을 소유하지 못하는 실정을 해결하기위한 대책도 공개했습니다.
저소득 제대군인의 생활안정을 위해 주택대출을 3천만원에서 5천만원으로 높이는 등 현재 43%의 주택보유율을 일반 국민 수준인 60%로 끌어올린다는 구상입니다.
이러한 사업을 진행하는 데 필요한 예산은 올해부터 2011년까지 약 2천886억원.
정부는 작년 11월 이미 `제대군인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해 예산지원을 추진 중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268회) 클립영상
- 제대군인 사회복귀 지원 49:49
- 취업·주거 동시에 49:49
- 국방부 제대군인지원 대책 49:49
- 민생과 경제 49:49
- 설 성수품 2배 공급 49:49
- 중소기업 정책자금 조기 공급 49:49
- 경제논리로 남북경협 일관 추진 49:49
- 예산낭비 공개 포털사이트 문 연다 49:49
- 은행 위장 `피싱 사이트` 주의보 49:49
- 살림살이 `나아질 것’ 49:49
- 저작권법 50년 성과와 과제 49:49
- 청소년 드림1004 후원사업 49:49
- 보고서 핵심은 격차 완화 49:49
- 중국 어선 불법 어로 단속 현장 49:49
- 산림헬기 3천시간 무사고 달성 49:49
- 판교 상가 우선분양 대상 다음달 확정 49:49
- 허심탄회한 대화와 협의 이뤄지길 바란다 49:49
- 오늘의 브리핑 4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