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빈틈없는 식품안전
등록일 : 2007.01.25
미니플레이
RFID라고 들어보셨습니까?

조그만 칩에다 제품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 무선식별인식 시스템입니다

이같은 RFID가 각종 먹을거리들에 부착돼 식품의 안전성이 크게 강화된다는 소식입니다.

김미정 기자>

국내 한 전자 태그 관련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김은태 이사.

지난해 RFID, 즉 전자태그를 이용한 식품안전정보관리 사업이 시행되면서 하루의 시작은 늘 제과점 방문부텁니다.

김은태 이사가 케이크를 들고 이동한 곳은 제과점 옆 한쪽에 자리잡은 컴퓨터.

RFID가 부착된 태그를 통해 소비자들은 인터넷이나 휴대전화로 케이크에 대한 상세 정보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제품에 부착된 코드를 입력하면 식품 첨가물의 용량부터 유통기간까지 모든 내용을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무선전자태그 도입이 그 어느 때보다 반가운 소비자들.

집단 식중독 사건, 유전자 조작 등 최근 이어진 먹을거리에 대한 불안감을 덜어주는 소식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식품이력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식품가공업체는 파리바게뜨, 농심, 동원 F&B.

그러나 시범사업이 끝난 후 본격 실시되면 참여하는 업체 수가 늘어날 전망입니다.

정부의 식품안전 예산은 지난해 1813억원에서 올해 2187억원으로 20.6% 늘어납니다.

또 검사인력 등 식품안전관리인력도 현재보다 21명이 증원됩니다.

또 폐광지역 농산물에 대한 중금속 검사가 집중 실시되는 등 위해물질 검사 건수도 지난해보다 2천 건 정도 늘어납니다.

농림부는 이 같은 대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박홍수 농림부 장관 주재로 농식품안전자문단회의를 열어 소비자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