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미래 항만 청사진
등록일 : 2007.01.24
미니플레이
이번 시간은 전국 항만과 항만배후단지의 종합계획을 살펴보는 기획시리즈 코너입니다.

1876년 개항 이래 수출 한국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해 온 부산항.

얼마 전 부산 신항이 개장 1주년을 맞았습니다.

새로운 출발점에 선 부산항이 부두시설과 서비스 그리고 항만 배후단지 등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며, 3박자를 고루 갖춘 항만으로 변신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2011년 다시 태어날 세계 속 부산항의 모습을 지금부터 만나보겠습니다.

부산의 새로운 물류거점 부산항 신항, 대한민국을 넘어 동북아 항만물류중심 기지로 도약할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2011년, 세계적 선진항으로 완성될 부산항 신항을 만나봅니다

지난 1월 19일 첫돌은 맞은 부산항 신항.

북항을 중심으로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해 오던 부산항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정부에서는 지난 95년부터 위해 종합적인 계획아래 부산항 신항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작년 1월19일 최초로 3선 석을 개장한 데 이어 올 1월 초에 3선 석을 추가 개장했습니다.

인터뷰> 부산항만공사 국제물류사업단 추연길 단장

Q. 현재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의 개발 현황은 어떤지요?
부산항 신항은 2015년까지 총 30선 석이 단계별로 개발될 예정입니다.

그에 따라 정부는 신항을 기존 부산항과는 달리 질 높은 항만서비스 제공을 위한 최신식 시설뿐만 아니라, 충분한 배후물류단지와 배후교통망을 확충함으로써 충분한 항만경쟁력을 확보해 싱가포르항과 로테르담항 같은 고부가가치 창출형 선진항만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인터뷰> 해양수산부 항만정책과 윤두환 사무관

Q.부산항 신항 개발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요?

하지만 신항이 부산항의 새로운 동력 성장이 되어 동북아 해운물류의 허브항만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우선 신항의 물량 확보가 시급한 과제입니다.

2008년 말 총 18선 석 규모로 신항이 개발되면 충분한 규모의 시설을 확보할 수 있게 돼 신규 환적화물을 중심으로 물동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항만배후단지의 가능성을 높게 평가한 정부의 금번 계획에 따라 부산항 배후단지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도 집중 추진되고 있습니다.

현재 22만평의 배후부지를 확보하고 있으나, 2008년까지 43만평, 2011년까지 141만평, 2015년까지 203만평 규모로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또한 개발된 배후물류부지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안정적인 물동량 창출과 부가가치 극대화를 도모해 나가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그에 따라 부산항 신항은 항만과 배후물류부지 그리고 배후산업단지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된 항만클러스터화를 통해 부산항을 고부부가치 창출형 선진항만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인터뷰> 부산항만공사 국제물류사업단 추연길 단장

Q. 부산항 신항 개발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천혜의 입지를 자랑하는 부산항 신항.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계획을 통해 2011년, 동북아 중심에 우뚝 선 브항만으로 자리 잡길 기대해 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