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안전관리로 최소화
등록일 : 2007.01.23
미니플레이
강원도 평창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하여 지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안전조치를 잘 취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강석민 기자>

이번 지진은 남한지역 육상에서 발생한 지진 중 지난 78년 규모 5.0의 홍성지진 이후 29년만에 가장 강했지만 피해는 거의 없었습니다.

산악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한데다 진원이 지하 15km지점으로 홍성 지진보다 5km나 더 깊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우리나라 지질학상 지진 발생 빈도가 낮아 지진대비의 약하고 산업구조나 주거 형태가 밀집돼 있어 지진 발생 시 피해는 더욱 클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에 따라 기상청은 지진 발생이 대피요령에 대해 적극 홍보에 나섰습니다.

먼저 지진 발생 중인 경우에는 넘어지기 쉬운 물건 주위를 피하고 견고한 탁자 밑이나 욕실로 대피 합니다.

도심에 경우 건물 밖보다 안이 훨씬 안전합니다.

문틀이 틀어져 문이 안 열릴 경우가 있으므로 빨리 문을 열어 두어야 합니다.

무엇보다 지진 발생 시 낙하물이 가장 위험하기 때문에방속 등으로 머리를 보호해야 합니다.

지진이 끝난 후에는 부상자를 확인하고 응급처치를 실시하고 화재와 가스누출을 확인해야 합니다.

대피 시에는 소지품을 최소화 하고 작은 지진 발생 시 라도 안전전검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지진에 대해 지나치게 불안할 필요는 없으나 화재에 대비하는 것처럼 안전 교육을 기본적으로 익히는 것이 먼저라고 당부합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