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국정브리핑 국민과의 소통의 공간
등록일 : 2007.01.19
미니플레이
진정한 의미의 소통 소통은 민주주의 사회를 성립하는 최소한의 조건입니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소통의 중요성보다는 담합에 의한 합의가 진정한 소통의 의미와 진실을 왜곡하기 시작 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1월 16일 국무회의에서 진정한 소통의 본질을 충실히 반영해야 할 언론이 일부의 기사담합으로 제역할을 못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그간 참여정부의 정책이 국민에게 어떤 모습으로 보여 졌는가를 쉽게 짐작 할 수 있는 사례입니다.

이 같은 언론보도 행태는 국민들의 신뢰를 잃었으며 이는 한국 언론재단에서 2년마다 실시하는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신문의 신뢰도는 1998년 약 41%에서 지난해에는 약18%로 떨어졌고 신문구독률 또한 60%에서 40%대로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기존 언론의 의제 장악력과 영향력이 떨어 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같은 이유에서 전문가들도 언론의 왜곡보도를 줄이고 방지하기 위해선 국민에게 올바르게 알릴 수 있는 소통의 통로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해 왔습니다.

이를 위해 참여정부는 지난 2003년 9월 국정브리핑을 출범시켜 정책의 직접 수혜자인 국민에게 정책의 내용을 충실히 전하고자 직접 소통 통로를 열었습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우리나라 공무원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정책을 입안하고 추진하는 정책 담담자인 공무원들이 언론에 잘못된 정책전달에 직접 나서 설명하고 당당하게 전하게 된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정책의 진정성을 살리고 나아가 효율성까지 추구 할 있게 된 것입니다.

그렇다고 언론의 순기능인 건전한 비판을 외면 했던 것은 아닙니다.

지난해 국내언론보도종합 수용현황을 살펴보면 언론사 직접대응은 301건 법적대응은 130건입니다

그러나 건전비판을 수용한 사례는 630건으로 2배 이상 높았습니다.

이 같은 사례는 지난 한해만이 아니였습니다

연도별 수용실적을 보면 2004년 251건에서 2005년에는 564건으로 해마다 크게 증가 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정책의 입안과 집행과정에서 언론과 국민의 반응을 직접반영 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다매체 다체널 시대라는 매체 환경이 긍정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오히려 매체 간 과도한 경쟁이 진실과 사실을 가려 국민의 알권리를 심각하게 왜곡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민과의 진정한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국정브리핑 같은 매체들이 그 역할을 요구받는 이윱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