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입법성과 `해마다 증가세`
등록일 : 2007.01.05
미니플레이
참여정부 출범 이후 지금까지 국회에 제출된 법안수는 역대 정부 사상 가장 많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간 정부가 어떤 법안들의 입법을 추진했고 또 그로 인해 얼마만큼의 성과를 거뒀는지, 이현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현주 기자>
지난해 참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법안의 수는 모두 322건, 이 중 192건이 통과됐습니다.
특히 각종 개혁법안이 17건, 사회양극화 해소와 경제활성화 법안이 36건으로, 민생.경제 법안들에 입법이 집중됐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 한영수 법제처 재정기획관
사회 양극화 해소는 일자리 창출 등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민생관련 법안이 가장 많고 그밖에도 경제 활성화와 선진국 진입을 위한 경제기반 조성관련 법안 또한 참여정부가 그동안 역점을 두고 추진해 온 각종 개혁법안들도 다수 처리됐다.
대통령의 임기말이 다가올수록 법안 제출이 감소했던 역대 정부와는 달리 해마다 그 수가 늘어난 것도 참여정부 들어 눈에 띄게 달라진 점입니다.
입법과정에서 사회적 합의를 거치면서 다소 시간이 많이 소요돼 초기에는 상대적으로 그 수가 적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결실을 맺기 시작한 것입니다.
비정규직보호법과 노사관계선진화법안 등은 지난해 제도화된 대표적인 입법 사롑니다.
이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아쉬움이 남는 대목은 지난해 5.30지방선거에 따른 국회 회기 단축으로 제출 건수에 비해 통과 건수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그간 추진해온 개혁 과제들을 조속히 마무리하기 위해
지난해 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한 법안들이 오는 2월 임시국회에서 반드시 통과되도록 역량을 집중 한다는 계획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현주 기자>
지난해 참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법안의 수는 모두 322건, 이 중 192건이 통과됐습니다.
특히 각종 개혁법안이 17건, 사회양극화 해소와 경제활성화 법안이 36건으로, 민생.경제 법안들에 입법이 집중됐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 한영수 법제처 재정기획관
사회 양극화 해소는 일자리 창출 등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민생관련 법안이 가장 많고 그밖에도 경제 활성화와 선진국 진입을 위한 경제기반 조성관련 법안 또한 참여정부가 그동안 역점을 두고 추진해 온 각종 개혁법안들도 다수 처리됐다.
대통령의 임기말이 다가올수록 법안 제출이 감소했던 역대 정부와는 달리 해마다 그 수가 늘어난 것도 참여정부 들어 눈에 띄게 달라진 점입니다.
입법과정에서 사회적 합의를 거치면서 다소 시간이 많이 소요돼 초기에는 상대적으로 그 수가 적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결실을 맺기 시작한 것입니다.
비정규직보호법과 노사관계선진화법안 등은 지난해 제도화된 대표적인 입법 사롑니다.
이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아쉬움이 남는 대목은 지난해 5.30지방선거에 따른 국회 회기 단축으로 제출 건수에 비해 통과 건수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그간 추진해온 개혁 과제들을 조속히 마무리하기 위해
지난해 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한 법안들이 오는 2월 임시국회에서 반드시 통과되도록 역량을 집중 한다는 계획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253회) 클립영상
- `혁신형 중기` 3만 육성 49:31
- 정부, 부동산 `조기공급 걸림돌 개선` 49:31
- `아세안+3` 참석 49:31
- 종부세, `시장 재편` 효과 49:31
- 무역조정지원제도, `FTA 피해 구제` 49:31
- 정부 당국자, `北 핵실험 징후 없어` 49:31
- 한.미, 6자회담 재개 위해 `중국과 협의` 49:31
- 참여정부 입법성과 `해마다 증가세` 49:31
- `사회서비스 제공.일자리 창출` 한번에 49:31
- 대담 녹화 - 조원동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장 49:31
- 사회초년병.자영업자, `DTI 예외 검토` 49:31
-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권` 관련 입법예고 49:31
- `부동산 거품 광범위하지 않다` 49:31
- 불이익 최소화 49:31
- `한국이 내 고향` 49:31
- `손가락` 하나면 끝 49:31
- 언론다시보기 49:31
- 산골마을 지킴이 4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