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부, 공공기관 웹 접근성 수준 전반적 향상
등록일 : 2006.12.22
미니플레이
인터넷을 이용해 정보를 얻는 일이 보편화됐지만 장애인이나 노인들에겐 아직 어려운 점이 많은데요. 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 각 부처와 공공기관들의 노력이 이같은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큰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문현구 기자>
장애인이나 노인들이 공공기관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이 쉬워졌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정보통신부는 지난 10월 한달 동안 중앙행정기관, 광역지자체, 입법.사법기관 등 79개 공공기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을 조사한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그 결과를 보면, 올해 공공기관 웹 접근성이 지난해 평균 72.2점보다 13%가량 상승한 81.8점을 기록했습니다.
`웹 접근성`이란 장애인이나 노인들이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접근해 이를 쉽게 이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 지난해 조사에선 90점 이상을 받은 기관이 없었지만 올해엔 기획예산처, 비상기획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등 3곳이 90점을 넘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국가표준으로 제정된 인터넷 웹콘텐츠 접근성 지침의 기준을 근거로 평가됐습니다.
한편, 정보통신부는 이처럼 개선된 결과가 나오기 했지만 노인과 장애인 등에겐 인터넷 사이트 이용이 여전히 어렵다고 보고 공공기관은 물론 민간부문 사이트까지 웹 접근성 향상 노력을 지속해나갈 방침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문현구 기자>
장애인이나 노인들이 공공기관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이 쉬워졌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정보통신부는 지난 10월 한달 동안 중앙행정기관, 광역지자체, 입법.사법기관 등 79개 공공기관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을 조사한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그 결과를 보면, 올해 공공기관 웹 접근성이 지난해 평균 72.2점보다 13%가량 상승한 81.8점을 기록했습니다.
`웹 접근성`이란 장애인이나 노인들이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접근해 이를 쉽게 이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 지난해 조사에선 90점 이상을 받은 기관이 없었지만 올해엔 기획예산처, 비상기획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등 3곳이 90점을 넘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국가표준으로 제정된 인터넷 웹콘텐츠 접근성 지침의 기준을 근거로 평가됐습니다.
한편, 정보통신부는 이처럼 개선된 결과가 나오기 했지만 노인과 장애인 등에겐 인터넷 사이트 이용이 여전히 어렵다고 보고 공공기관은 물론 민간부문 사이트까지 웹 접근성 향상 노력을 지속해나갈 방침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245회) 클립영상
- 환매조건부·토지임대부 시범실시 49:9
- 금융업계, 주택거품 공동대응해야 49:9
- 미국산 쇠고기 다이옥신 검출 49:9
- 사법제도개혁추진위 위원 초청 오찬간담회 49:9
- 청와대, 군복무 기간 단축 검토 49:9
- 닭·오리 2만여마리 추가 살처분 49:9
- 올해 한국 기업 신용도 안정세 49:9
- 6자회담 성과 없이 끝나 49:9
- 재경부 서비스산업 경쟁력강화 대책 49:9
- 서머타임제 추진 49:9
- 한국인 유엔사무총장 시대 개막 49:9
- 최근 5년 알레르기성 환자 급증 49:9
- 외국인투자 현금지원제 첫 사례 49:9
- 과학기술부 2007년 이렇게 달라진다 49:9
- 프레시안 포르말린 보도 관련 해수부 입장 49:9
- 정통부, 공공기관 웹 접근성 수준 전반적 향상 49:9
- 당정, 보증인보호법 내년 상반기 제정 49:9
- 반 사무총장, 24~28일 일시 귀국 49:9
- 제53주년 해양경찰의 날 기념식 49:9
- 순간포착 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