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비 자료, 환자비밀 보호 이상없다
등록일 : 2006.12.12
미니플레이
국세청이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일부 의료기관의 자료제출 거부가 여전하다는 지적입니다.
환자들의 개인정보가 침해될 우려가 있다는 것입니다.
문현구 기자>
국세청은 올해부터 봉급생활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해 각종 소득공제 내역과 영수증을 손쉽게 출력할 수 있도록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마련했습니다.
그 가운데 이용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 의료비 부문입니다.
하지만 12일까지 국세청 등 관계기관에 의료비 공제자료를 제출해야 하는 상황인데도 일부 의료기관들이 자료제출을 거부하고 있어 서비스 운영에 차질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세청은 일부 의료기관이 자료제출 거부의 이유로 거론하고 있는 환자의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
공인인증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타인이 정보유출을 할 수 없고, 따라서 의료계가 주장하는 개인정보 유출은 근거가 없다는 것입니다.
또 환자 진료기록 비밀보장에 대한 논란에 대해선 자료접수시 질병내역은 제공받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의료비 내역 영업비밀 보장 문제도 의료기관들 스스로의 수입액 노출을 우려한 것일 뿐이어서 국민들의 연말정산 간소화에 차질을 빚을 이유는 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이같은 국세청의 원칙에 대해서 세무관련 민간단체들도 공감하는 분위기입니다.
지난 6일부터 시작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현재 교육비와 보험료 등 6개 항목에 대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국세청은 의료비와 신용카드 분야는 오는 15일부터 서비스가 개통된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의료계가 연말정산 자료 제출에 협조할 것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환자들의 개인정보가 침해될 우려가 있다는 것입니다.
문현구 기자>
국세청은 올해부터 봉급생활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해 각종 소득공제 내역과 영수증을 손쉽게 출력할 수 있도록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마련했습니다.
그 가운데 이용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 의료비 부문입니다.
하지만 12일까지 국세청 등 관계기관에 의료비 공제자료를 제출해야 하는 상황인데도 일부 의료기관들이 자료제출을 거부하고 있어 서비스 운영에 차질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세청은 일부 의료기관이 자료제출 거부의 이유로 거론하고 있는 환자의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
공인인증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타인이 정보유출을 할 수 없고, 따라서 의료계가 주장하는 개인정보 유출은 근거가 없다는 것입니다.
또 환자 진료기록 비밀보장에 대한 논란에 대해선 자료접수시 질병내역은 제공받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의료비 내역 영업비밀 보장 문제도 의료기관들 스스로의 수입액 노출을 우려한 것일 뿐이어서 국민들의 연말정산 간소화에 차질을 빚을 이유는 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이같은 국세청의 원칙에 대해서 세무관련 민간단체들도 공감하는 분위기입니다.
지난 6일부터 시작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현재 교육비와 보험료 등 6개 항목에 대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국세청은 의료비와 신용카드 분야는 오는 15일부터 서비스가 개통된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의료계가 연말정산 자료 제출에 협조할 것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출발! 국정투데이 (237회) 클립영상
- 전북 김제서 고병원성 AI 추가 발생 37:48
- AI 확산방지 방역작업에 총력 37:48
- 6자회담, 18일부터 베이징서 재개 37:48
- ‘방송통신위원회 설치법안’공청회 37:48
- 선진국 아닌 이유 “지성·언론의 위기” 37:48
- “내년 상반기 획기적 균형발전방안 제시” 37:48
- `맞춤형 부동산 정책으로 국민 신뢰회복` 37:48
- `남북교류 협력 확대, 발전시켜 나갈 것` 37:48
- 의료비 자료, 환자비밀 보호 이상없다 37:48
- 기업 인수·합병, 진실은? 37:48
- 농업 기계화에 5년간 3조8천억원 투입 37:48
- 생활정책 Q&A 37: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