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18일 재개
등록일 : 2006.12.11
미니플레이
북핵 6자회담이 오는 18일 베이징에서 열립니다. 정부는 6자회담이 18일부터 사나흘 동안 열릴 것이며, 이에 앞서 관련국간 사전접촉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오세중 기자>
북핵 6자회담이 지난해 11월 이후 1년 1개월 만에 재개됩니다.
외교부는 회담 재개를 환영하며 이를 위한 관련국들의 노력을 평가한다고 공식 확인했습니다.
중국 외교부도 관련국들이 협상을 거쳐 6자회담을 오는 18일부터 베이징에서 개최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에따라 북한과 미국 회담대표단은 회담에 앞서 베이징에 도착해 양자협상을 통해 의제를 사전조율한 후 공식회담을 개최할 것으로 보입니다.
회담에서 미국은 지난달 베이징 회동에서 북측에 제시한 영변 핵시설 가동 중단과 국제원자력기구 사찰 수용, 핵실험장 폐쇄 등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북한이 이 제안을 받아들이면 9.19공동성명에 명시된 에너지와 경제지원 등을 취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힐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은 일단 미국 측이 제시한 핵 폐기에 따른 지원 조치에 대해 다각도의 검토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핵보유국의 권리를 주장하며 회담을 핵군축협상으로 이끌거나 핵폐기 문제에 대해 이견을 좁히지 못할 경우 자칫 회담이 교착상태에 빠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 당국자는 6자회담 재개에 대해 미리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지만 낙관할 수만도 없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비췄습니다.
한편, 정부는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 주재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한국이 중재자로서 어떤 역할을 할지 대응책을 준비하기로 했습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세중 기자>
북핵 6자회담이 지난해 11월 이후 1년 1개월 만에 재개됩니다.
외교부는 회담 재개를 환영하며 이를 위한 관련국들의 노력을 평가한다고 공식 확인했습니다.
중국 외교부도 관련국들이 협상을 거쳐 6자회담을 오는 18일부터 베이징에서 개최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에따라 북한과 미국 회담대표단은 회담에 앞서 베이징에 도착해 양자협상을 통해 의제를 사전조율한 후 공식회담을 개최할 것으로 보입니다.
회담에서 미국은 지난달 베이징 회동에서 북측에 제시한 영변 핵시설 가동 중단과 국제원자력기구 사찰 수용, 핵실험장 폐쇄 등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북한이 이 제안을 받아들이면 9.19공동성명에 명시된 에너지와 경제지원 등을 취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힐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은 일단 미국 측이 제시한 핵 폐기에 따른 지원 조치에 대해 다각도의 검토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핵보유국의 권리를 주장하며 회담을 핵군축협상으로 이끌거나 핵폐기 문제에 대해 이견을 좁히지 못할 경우 자칫 회담이 교착상태에 빠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 당국자는 6자회담 재개에 대해 미리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지만 낙관할 수만도 없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비췄습니다.
한편, 정부는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 주재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한국이 중재자로서 어떤 역할을 할지 대응책을 준비하기로 했습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236회) 클립영상
- 전북 김제서 고병원성 AI 추가 발생 48:24
- 전북 김제, 방제작업 총력 48:24
- `6자회담` 18일 재개 48:24
- 방송통신위원회 설치 법안 조속입법 추진 48:24
- 올 한해, 지성·언론의 위기 48:24
- `맞춤형 부동산 정책으로 국민 신뢰회복` 48:24
- `종부세·양도세 완화, 검토 않을 것` 48:24
- `투기지역에서는 정당한 투자도 투기` 48:24
- `남북교류 협력 확대, 발전시켜 나갈 것` 48:24
- 의료비 자료, 환자비밀 보호 이상없다 48:24
- 한미FTA 5차협상, 상품무역 등 성과 48:24
- 기업 인수·합병, 진실은? 48:24
- `무역구제 진전돼야 자동차·의약 검토` 48:24
- 조선 빅3, 올해 수주 356억 달러 달성 48:24
- 2020년까지 발전소 39기 추가 건설 48:24
- `패션도시` 과제는 48:24
- 지역경제 파수군, 우체국 쇼핑 48:24
- 공시지가 제대로 알자 48:24
- 휴대폰 스팸 지속 단속 4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