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 발전소 39기 추가 건설
등록일 : 2006.12.11
미니플레이
내년부터 오는 2020년까지 원자력 등 발전소 39곳이 추가로 건설됩니다.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전력량에 대비해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유진향 기자>
해가 갈수록 전력수요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국내 총 전력수요는 올해부터 2020년까지 매년 평균 2.5%씩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런 추세라면 오는 2020년 전력수요는 총 4천 786억 킬로와트아우어에 달해 올해의 약 1.4배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통상 여름철에 발생하는 연중 최대 전력수요도 2020년엔 지금의 약 1.2배에 해당하는 7천 181만 킬로와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산업자원부는 이같은 분석에 근거해 향후 안정적인 전력 수급을 위해서 발전소 39기를 추가로 건설한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원자력 발전소가 8기, 석탄발전소 14기, LNG발전소는 가장 많은 17깁니다.
이를 위해 모두 29조원이 투자되며 재원은 각 발전회사들이 마련합니다.
이들 발전소가 계획대로 2020년까지 구축되면 모두 9천 428만 킬로와트의 발전설비가 갖춰지게 됩니다.
산자부는 특히 이번 계획을 통해 전력수급의 상대적 취약지역이었던 수도권과 제주도의 설비를 크게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수도권의 경우 올해 2천 740만 킬로와트에서 2020년엔 3천 953만 킬로와트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또 환경친화적인 전력시스템 구축을 위해 환경비용도 반영할 계획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유진향 기자>
해가 갈수록 전력수요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국내 총 전력수요는 올해부터 2020년까지 매년 평균 2.5%씩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런 추세라면 오는 2020년 전력수요는 총 4천 786억 킬로와트아우어에 달해 올해의 약 1.4배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통상 여름철에 발생하는 연중 최대 전력수요도 2020년엔 지금의 약 1.2배에 해당하는 7천 181만 킬로와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산업자원부는 이같은 분석에 근거해 향후 안정적인 전력 수급을 위해서 발전소 39기를 추가로 건설한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원자력 발전소가 8기, 석탄발전소 14기, LNG발전소는 가장 많은 17깁니다.
이를 위해 모두 29조원이 투자되며 재원은 각 발전회사들이 마련합니다.
이들 발전소가 계획대로 2020년까지 구축되면 모두 9천 428만 킬로와트의 발전설비가 갖춰지게 됩니다.
산자부는 특히 이번 계획을 통해 전력수급의 상대적 취약지역이었던 수도권과 제주도의 설비를 크게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수도권의 경우 올해 2천 740만 킬로와트에서 2020년엔 3천 953만 킬로와트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또 환경친화적인 전력시스템 구축을 위해 환경비용도 반영할 계획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국정네트워크 (236회) 클립영상
- 전북 김제서 고병원성 AI 추가 발생 18:3
- `투기지역에서는 정당한 투자도 투기` 18:3
- `부동산 문제 해결위해 맞춤형 대책 강구` 18:3
- 2020년까지 발전소 39기 추가 건설 18:3
- `무역구제 진전돼야 자동차·의약 검토` 18:3
- 조선 빅3, 올해 수주 356억 달러 달성 18:3
- 새 10원 동전, 18일부터 발행 18:3
- `중국, 6자회담 18일 개최안 각국에 전달` 18:3
- 학점 나쁘면 교사 못된다 18:3
- `패션도시` 과제는 18:3
- 빈곤층 파산·회생 법률서비스 지원 18:3
- 우주인 후보 6명으로 압축 18:3
- 농업 기계화에 5년간 3조 8천억원 투입 18:3
- 산자부, 제3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브리핑 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