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 패션` 감탄
등록일 : 2006.12.08
미니플레이
지금 대구에서는 아시아 문화를 선도하는 한류를 넘어서 패션의 한류를 만들어 내기 위한 국제패션쇼가 열리고 있습니다.
동양의 아름다움을 세계인에게 선보인 가운데 특히 전통 한지를 사용해 만든 의상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습니다.
최고다 기자>
동양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빛깔과 문양을 드리운 옷을 입은 모델들이 우아한 자태를 뽐냅니다.
단아함 속에 신비로움이 묻어나는 전통한지 패션쇼가 시작되자 관객들은 연신 감탄합니다.
섬유의 고장으로 유명한 대구에서 열린 제 1회 대구국제패션 페어.
패션의 본고장 프랑스를 비롯해 미국과 일본 등 9개국, 58개 업체가 패션의류와 침장구류, 보석류 등을 선보입니다.
한류열기를 실감하듯 특히 중국인들의 관심이 높았습니다.
패션페어가 진행되는 동안 일반인은 이곳에서 모델들이 입은 의상을 바로 구매할 수 있어 지역경기 활성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산업자원부는 한류의 열기를 이어 패션산업에도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각옵니다.
한류라는 이름으로 아시아 문화를 이끄는 한국.
이제 아시아 패션의 메카로 발돋움 합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동양의 아름다움을 세계인에게 선보인 가운데 특히 전통 한지를 사용해 만든 의상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습니다.
최고다 기자>
동양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빛깔과 문양을 드리운 옷을 입은 모델들이 우아한 자태를 뽐냅니다.
단아함 속에 신비로움이 묻어나는 전통한지 패션쇼가 시작되자 관객들은 연신 감탄합니다.
섬유의 고장으로 유명한 대구에서 열린 제 1회 대구국제패션 페어.
패션의 본고장 프랑스를 비롯해 미국과 일본 등 9개국, 58개 업체가 패션의류와 침장구류, 보석류 등을 선보입니다.
한류열기를 실감하듯 특히 중국인들의 관심이 높았습니다.
패션페어가 진행되는 동안 일반인은 이곳에서 모델들이 입은 의상을 바로 구매할 수 있어 지역경기 활성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산업자원부는 한류의 열기를 이어 패션산업에도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각옵니다.
한류라는 이름으로 아시아 문화를 이끄는 한국.
이제 아시아 패션의 메카로 발돋움 합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235회) 클립영상
- 한-뉴질랜드 FTA 검토 49:20
- 아세안+3 정상회의 내년 1월로 연기 49:20
- `북핵` 허용 못해 49:20
- 제 58주년 인권의 날 기념식 열려 49:20
- 무역구제, 장외 협상 타결 가능성 49:20
- 무역구제, 한·미 무역마찰 주원인 49:20
- 글로벌 경제로의 도약 49:20
- 내년 달라지는 부동산제도 49:20
- 종부세 신고자 6만4천여명, 대상자 18.6% 49:20
- 고액 세금체납자 출입국 때 정밀검사 49:20
- `한지 패션` 감탄 49:20
- 고대에도 한류가 있었다 49:20
- 부부 중대장의 특별한 이취임식 49:20
- 강원도 평창, 고랭지 여름딸기 49:20
- 건전한 긴장 관계 49:20
- 정상회담과 무관 49:20
- 2009년 도입 합리적 49:20
- 순간포착 49:20
- 한국우주인 러 우주선 탑승계약 체결 49:20
- `내년 6월까지 전작권 전환 목표연도 결정` 49:20
- 국민고충위원회 브리핑 49:20
- 공정거래위원회 브리핑 4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