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다시보기
등록일 : 2006.12.05
미니플레이
서울신문은 5일 “안되면 말고 식, 국가 R&D 사업”이란 제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서울신문은 1조 3천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형 국가연구개발, 이른바 대형 국가 R&D 사업들이 타당성 조사 없이 졸속 추진돼서 중단 또는 지연되는 차질을 빚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과학기술부는 서울신문의 보도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습니다.
과학기술부 기계소재심의관실의 이봉로 서기관 전화연결해서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 우선, 대형 국가연구개발 실용화 사업이 무엇이고 어떤 취지와 내용으로 추진되고 있는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A> 대형 국가연구개발 실용화 사업은 기술개발이 완료단계에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가 조속히 실용화 되어 국가 경제성장의 동력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범부처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대상 사업의 범위는 국내 관련 산업에의 파급효과가 크고 개별부처 단독으로는 추진이 어려운 사업들을 발굴하여 유관 부처간 긴밀하게 협조하면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2004년 10월 과학기술부가 부총리부로 승격하고 과학기술혁신본부 체제가 출범하여 과학기술 관련 부처를 총괄하게 되면서 시작한 사업으로서, 각 부처에서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에 애로가 있는 사업들을 엄선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실용화 사업의 성격상 민간부문과 공동으로 사업비를 투자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자기부상열차, 뇌질환 치매치료제, 대형 위그선 등 사업들이 착수되거나 착수 준비중에 있습니다.
Q> 서울신문은 대형 국가 연구개발 사업들이 졸속으로 추진됐다고 주장했는데요, 사실은 어떻습니까?
A> 먼저, 사업화 성공가능성이 큰 사업을 엄선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검증을 거치고 있음을 말씀드립니다.
따라서, 신문에서 “사전타당성 조사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어 차질을 빚고 있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릅니다.
신문에서 보도한 사업들의 경우, 지난 2004년 12월 정부 각 부처를 대상으로 수요를 조사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2005년 1월 산학연 전문가의 사전검토를 거쳐 10개의 후보과제를 도출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2005년 3월에서 5월까지 약 3개월간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확평가원 등 전문연구기획 및 관리 기관에 위탁하여 사전타당성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다시 산학연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과기장관회의에 보고하여 최종적으로 대상과제를 선정하는 과정을 통해 사업의 성공가능성이 높은 과제를 엄선한 것입니다.
현재 추진중인 사업들은 앞으로 고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국가 성장동력으로서의 큰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울신문은 1조 3천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형 국가연구개발, 이른바 대형 국가 R&D 사업들이 타당성 조사 없이 졸속 추진돼서 중단 또는 지연되는 차질을 빚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과학기술부는 서울신문의 보도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습니다.
과학기술부 기계소재심의관실의 이봉로 서기관 전화연결해서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 우선, 대형 국가연구개발 실용화 사업이 무엇이고 어떤 취지와 내용으로 추진되고 있는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A> 대형 국가연구개발 실용화 사업은 기술개발이 완료단계에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가 조속히 실용화 되어 국가 경제성장의 동력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범부처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대상 사업의 범위는 국내 관련 산업에의 파급효과가 크고 개별부처 단독으로는 추진이 어려운 사업들을 발굴하여 유관 부처간 긴밀하게 협조하면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2004년 10월 과학기술부가 부총리부로 승격하고 과학기술혁신본부 체제가 출범하여 과학기술 관련 부처를 총괄하게 되면서 시작한 사업으로서, 각 부처에서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에 애로가 있는 사업들을 엄선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실용화 사업의 성격상 민간부문과 공동으로 사업비를 투자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자기부상열차, 뇌질환 치매치료제, 대형 위그선 등 사업들이 착수되거나 착수 준비중에 있습니다.
Q> 서울신문은 대형 국가 연구개발 사업들이 졸속으로 추진됐다고 주장했는데요, 사실은 어떻습니까?
A> 먼저, 사업화 성공가능성이 큰 사업을 엄선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검증을 거치고 있음을 말씀드립니다.
따라서, 신문에서 “사전타당성 조사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어 차질을 빚고 있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릅니다.
신문에서 보도한 사업들의 경우, 지난 2004년 12월 정부 각 부처를 대상으로 수요를 조사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2005년 1월 산학연 전문가의 사전검토를 거쳐 10개의 후보과제를 도출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2005년 3월에서 5월까지 약 3개월간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확평가원 등 전문연구기획 및 관리 기관에 위탁하여 사전타당성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다시 산학연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과기장관회의에 보고하여 최종적으로 대상과제를 선정하는 과정을 통해 사업의 성공가능성이 높은 과제를 엄선한 것입니다.
현재 추진중인 사업들은 앞으로 고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국가 성장동력으로서의 큰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232회) 클립영상
- 물류대란 위기모면 48:26
- `끝까지 책임 묻겠다` 48:26
- 경비·기계공 등 내년부터 최저임금 적용 48:26
- 노무현 대통령 호주 국빈 방문 48:26
- 대입 정시 학부모 설명회 48:26
- 편리해진 연말정산과 달라진 내용 48:26
- 연말정산 이모저모 - 궁금사항 몇 가지 48:26
- 5일 수출 3천억 달러 돌파 48:26
- 영상뉴스 48:26
- 일본,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4.6% 전망 48:26
- `내년 상반기 경기회복세 빨라질 것` 48:26
- 한미FTA 5차협상 시작 48:26
- 한미FTA 5차협상, 미국측 공세 강화 48:26
- (해외르포)멕시코 2-게레따로 산업단지 48:26
- 레안드로 아레야노 주한 멕시코 대사 인터뷰 48:26
- 징병검사 본인 선택제 시행 48:26
- GAP(좋은 농산물) 올해의 성과 48:26
- 내년 예산 -복지 부문 48:26
- 언론다시보기 48:26
- 제1회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식 개최 48:26
- 겨울철 저소득층 정부양곡 50% 할인 지원 48:26
- 정부, 방통위법 입법예고 48:26
- 일본, 한국산 삼계탕 수입 재개 48:26
- 성공 재래시장을 찾아서 4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