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균형잡힌 정보제공 중요
등록일 : 2006.11.20
미니플레이
부동산 안정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대책에도 불구하고 집값 상승을 우려하는 목소리는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왜 정부 정책의 효과는 더딘 것일까요?
각종 매체를 통해 쏟아져 나오는 부동산 뉴스 분석을 통해 이유를 알아봤습니다.
이현주 기자입니다.
부동산 가격이 급등한 최근 몇 주간, 부동산 관련 보도는 주로 집값이 많이 오른 강남이나 분당 등의 지역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 같은 언론의 보도 행태가 집값 상승 부추기는 큰 원인중 하나라고 지적합니다.
실제로 강남권을 제외한 곳의 집값 인상폭은 미미하거나 오히려 내려간 곳도 있는데 언론은 강남권 등 특별히 많이 오른 지역을 주로 거론하는 등 집값이 올랐다는 데 초점을 맞춰 보도한다는 겁니다.
이는 국민의 불안심리와 투기심리를 자극해 결과적으로 부동산 안정을 막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한편, 부동산 전문가들은 부동산에 대한 언론의 이중적 보도 태도도 집값 상승을 부추기는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합니다.
11.15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다음날 조간신문들 보도는 대부분 정책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런데 정책 실효성을 의심하며 집값 상승을 걱정하던 신문들이 부동산 시장을 보도 할 때는 태도가 완전히 바뀝니다.
집을 살 때는 투자가치를 고려하고 개발 호재가 많은 곳을 노리라는 식입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가격의 안정을 위해선 무엇보다 주택이 더 이상 투기의 수단이 아닌 주거의 개념으로 자리 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이 같은 인식 전환을 위해 정부의 정책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부동산 시장에 대한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하는 언론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중론입니다.
KTV 뉴스 이현주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왜 정부 정책의 효과는 더딘 것일까요?
각종 매체를 통해 쏟아져 나오는 부동산 뉴스 분석을 통해 이유를 알아봤습니다.
이현주 기자입니다.
부동산 가격이 급등한 최근 몇 주간, 부동산 관련 보도는 주로 집값이 많이 오른 강남이나 분당 등의 지역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 같은 언론의 보도 행태가 집값 상승 부추기는 큰 원인중 하나라고 지적합니다.
실제로 강남권을 제외한 곳의 집값 인상폭은 미미하거나 오히려 내려간 곳도 있는데 언론은 강남권 등 특별히 많이 오른 지역을 주로 거론하는 등 집값이 올랐다는 데 초점을 맞춰 보도한다는 겁니다.
이는 국민의 불안심리와 투기심리를 자극해 결과적으로 부동산 안정을 막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한편, 부동산 전문가들은 부동산에 대한 언론의 이중적 보도 태도도 집값 상승을 부추기는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합니다.
11.15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다음날 조간신문들 보도는 대부분 정책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런데 정책 실효성을 의심하며 집값 상승을 걱정하던 신문들이 부동산 시장을 보도 할 때는 태도가 완전히 바뀝니다.
집을 살 때는 투자가치를 고려하고 개발 호재가 많은 곳을 노리라는 식입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가격의 안정을 위해선 무엇보다 주택이 더 이상 투기의 수단이 아닌 주거의 개념으로 자리 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이 같은 인식 전환을 위해 정부의 정책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부동산 시장에 대한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하는 언론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중론입니다.
KTV 뉴스 이현주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221회) 클립영상
- 캄보디아 첫 국빈방문, 경제협력 구축 48:6
- 한미 정상, 北 핵포기시 평화체제 전환 48:6
- 외교 움직임 분주 48:6
- 미국,중국,캐나다와 FTA 집중 논의 48:6
- 사법개혁 촉구 48:6
- 국회 벽에 막힌 사법개혁 2년 48:6
-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계획 확정 48:6
- 부동산 시장, 균형잡힌 정보제공 중요 48:6
- 한은 `한국제조업, 미.일보다 경영실적 양호` 48:6
- 제조업 임금 2000년 이후 6.1% 상승 48:6
- 한-캐나다 FTA 8차협상 개최 48:6
- 항운노조 개편 동북아 물류기반 확보 48:6
- 기획대담 48:6
- IT로 보는 한국의 미래모습 48:6
- 언론다시보기 48:6
- 한명숙 총리, 세계 여성리더 7인에 선정 48:6
- 공공기관 성희롱 예방 대상에 한국전력 48:6
- 올해 6.25 전사자 유해 175구 발굴 48:6
- 20일부터 전국 스키장 안전관리 실태 점검 48:6
- 순간포착 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