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고용 촉진 앞장선다
등록일 : 2006.11.16
미니플레이
직장에서 일하신분들 나이들면 불안합니다. 능력이 있어도 나이제한 때문에 직장을 퇴직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나이보다는 능력에 따라 일할 수 있는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해 고령자고용 촉진주간 기념식이 16일 열렸습니다.
김현아 기자>
올해 우리나라의 고령화 인구는 9.5%. 노인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생산성 저하와 고임금 등을 이유로 사업주가 고령자 고용을 기피하면서 원하는 일자리를 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나이보다는 능력에 따라 일할 수 있는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동부가 마련한 고령자 고용 촉진주간 기념식이 열렸습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Working 60+`어워드와 온라인공모 수기 당선작 시상을 비롯해 고령자 인적자원개발과 효율적 활용에 대한 의제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릴레이 심포지엄도 열렸습니다.
`Working 60+`란 `60세 이후에도 활발하게 일을 하자`는 의미로 나이에 상관없이 일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 고령근로자 자신의 인생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지역사회를 이롭게 하자는 캠페인입니다.
한편 릴레이 심포지엄에서 한성대학교 황진수 교수는 고령인력 활용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대안으로 고령인력의 수요공급 로드맵과 직종 개발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서강대학교 신호창 교수는 `W세대 트렌드 보고서‘를 통해 열심히 일하고자 하는 활동적인 시니어라는 새로운 고령근로자상을 제시했습니다.
노동부는 Working 60+ 캠페인의 활성화를 통해 고령자 특성에 맞는 취업알선과 능력개발 시책 등 다양한 고령자고용촉진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한편 매년 11월 셋째 주를 고령자 고용 촉진주간으로 정해 고령자 고용의 필요성과 의의를 적극적으로 알려나갈 계획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이보다는 능력에 따라 일할 수 있는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해 고령자고용 촉진주간 기념식이 16일 열렸습니다.
김현아 기자>
올해 우리나라의 고령화 인구는 9.5%. 노인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생산성 저하와 고임금 등을 이유로 사업주가 고령자 고용을 기피하면서 원하는 일자리를 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나이보다는 능력에 따라 일할 수 있는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동부가 마련한 고령자 고용 촉진주간 기념식이 열렸습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Working 60+`어워드와 온라인공모 수기 당선작 시상을 비롯해 고령자 인적자원개발과 효율적 활용에 대한 의제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릴레이 심포지엄도 열렸습니다.
`Working 60+`란 `60세 이후에도 활발하게 일을 하자`는 의미로 나이에 상관없이 일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 고령근로자 자신의 인생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지역사회를 이롭게 하자는 캠페인입니다.
한편 릴레이 심포지엄에서 한성대학교 황진수 교수는 고령인력 활용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대안으로 고령인력의 수요공급 로드맵과 직종 개발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서강대학교 신호창 교수는 `W세대 트렌드 보고서‘를 통해 열심히 일하고자 하는 활동적인 시니어라는 새로운 고령근로자상을 제시했습니다.
노동부는 Working 60+ 캠페인의 활성화를 통해 고령자 특성에 맞는 취업알선과 능력개발 시책 등 다양한 고령자고용촉진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한편 매년 11월 셋째 주를 고령자 고용 촉진주간으로 정해 고령자 고용의 필요성과 의의를 적극적으로 알려나갈 계획입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국정네트워크 (219회) 클립영상
- 16일 수능, 58만여명 응시 19:5
- `수도권 주택 공급과잉 우려 없어` 19:5
- 카타르산 LNG 연간 210만t 추가 도입 19:5
- `6자회담 구체적 성과 내야` 19:5
- 노무현 대통령, 17일 APEC·캄보디아 순방 출국 19:5
- 한미 FTA민간대책위원회, 한미 업종간 협력강화 19:5
- 재경부 차관보 `대부업체 감독방안 마련중` 19:5
- 북한, 카타르 아시안게임 공동입장 제안 19:5
- 고령자 고용 촉진 앞장선다 19:5
- 유엔, 17일 새벽 대북 인권결의안 표결 19:5
- “중국, 대북 석유공급 중단 안해” 19:5
- 박홍수 농림부 장관 `농촌형특별소득대책 마련` 19:5
- 오늘의 브리핑 - 재정경제부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