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프리카, 외교적 지평 확대
등록일 : 2006.11.09
미니플레이
노무현 대통령이 8일 아프리카 4개국 대통령과 연쇄 정상회담을 갖고 아프리카와의 실질적인 협력 증진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이번 회담은 아프리카와의 외교적 지평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강동원 기자>
노무현 대통령이 대 아프리카 외교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지난 6일 오바산조 나이지리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던 노 대통령은 아프리카 연합 의장을 맡고 있는 사수-은게소 콩고공화국 대통령 등 4개국 정상과 잇따라 회담을 가졌습니다.
정상회담에서 각국 정상들은 한국과 아프리카간 무역과 투자를 증진함으로써 장기적이고 상호 발전적인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했습니다.
노 대통령의 이같은 아프리카 5개국 정상 회담과 한-아프리카 포럼 참석은 지난 3월 노 대통령의 아프리카 3개국 순방에서 밝힌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이니셔티브`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졌습니다.
특히 자원의 보고인 아프리카 지역과의 에너지 분야 협력기반을 확충하고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의 공조체제를 다지는 등 외교적 지평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 한국의 선진국 진입을 앞두고 국제무대에서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일본, 중국과의 외교경쟁에 대비하려는 미래지향의 전략개념이라는 성격도 띠고 있습니다.
이례적이라 할수 있는 4개국 정상과의 연쇄회담.
노 대통령의 이 같은 일정은 지난 3월 이뤄진 아프리카 3개국 순방에 이은 대 아프리카 외교 강화를 겨냥한 외교 다변화 노력의 연장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번 회담은 아프리카와의 외교적 지평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강동원 기자>
노무현 대통령이 대 아프리카 외교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지난 6일 오바산조 나이지리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던 노 대통령은 아프리카 연합 의장을 맡고 있는 사수-은게소 콩고공화국 대통령 등 4개국 정상과 잇따라 회담을 가졌습니다.
정상회담에서 각국 정상들은 한국과 아프리카간 무역과 투자를 증진함으로써 장기적이고 상호 발전적인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했습니다.
노 대통령의 이같은 아프리카 5개국 정상 회담과 한-아프리카 포럼 참석은 지난 3월 노 대통령의 아프리카 3개국 순방에서 밝힌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이니셔티브`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졌습니다.
특히 자원의 보고인 아프리카 지역과의 에너지 분야 협력기반을 확충하고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의 공조체제를 다지는 등 외교적 지평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 한국의 선진국 진입을 앞두고 국제무대에서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일본, 중국과의 외교경쟁에 대비하려는 미래지향의 전략개념이라는 성격도 띠고 있습니다.
이례적이라 할수 있는 4개국 정상과의 연쇄회담.
노 대통령의 이 같은 일정은 지난 3월 이뤄진 아프리카 3개국 순방에 이은 대 아프리카 외교 강화를 겨냥한 외교 다변화 노력의 연장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출발! 국정투데이 (214회) 클립영상
- 한·아프리카, 외교적 지평 확대 35:24
- “한·아프리카 이해·관심 교환 계기” 35:24
- 美 중간선거 민주당, 상·하원도 장악 35:24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사업 26년 만에 종결 35:24
- 토공, 내년 사상 최대 택지공급 추진 35:24
- 국세청장, “부동산 투기이익 철저히 환수” 35:24
- 노무현 대통령, 부동산 관계장관회의 주재 35:24
- 시중은행, 주택대출금리 일제히 인상 35:24
- “국가통계가 기업 성공 비결” 35:24
- 영세납세자 세무불복 적극 해결 35:24
- WHO 신임총장에 중국의 마거릿 챈 35:24
- `한국의 첫 번째 발전전략은 인재양성` 35:24
- “인재 육성 반드시 필요” 35:24
- `북한과 BDA문제 양자대화 통해 논의` 35:24
- 행정정보 공동이용, 민원업무 한 번에 35:24
- 민·관, 책임운영기관 발전 모색 35:24
- 생활정책 Q&A 3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