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대북제재 北 경제에 큰 영향
등록일 : 2006.10.17
미니플레이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가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대북 경제제재의 예상 효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자>
지난해 기준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는 총 30억 100만 달러.
이 중 중국과의 교역이 15억 8천만 달러이고, 남한과의 교역이 10억 5천만 달러 규몹니다.
한국과 중국의 교역량이 전체의 80%를 넘어섭니다.
따라서 한.중 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가 본격화할 경우 북한 경제의 충격은 자명하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경제제재가 시행되면 국제사회의 원조가 중단돼 식량난 또한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외국과의 교역중단은 물자 부족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이는 물가상승으로 이어져 북한 경제는 더욱 힘겨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같은 분석을 종합해 볼 때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는 북한에게 큰 압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 이같은 국제사회의 단합된 행동에 대해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지 또 다른 강수를 둘 지에 세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기자>
지난해 기준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는 총 30억 100만 달러.
이 중 중국과의 교역이 15억 8천만 달러이고, 남한과의 교역이 10억 5천만 달러 규몹니다.
한국과 중국의 교역량이 전체의 80%를 넘어섭니다.
따라서 한.중 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가 본격화할 경우 북한 경제의 충격은 자명하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경제제재가 시행되면 국제사회의 원조가 중단돼 식량난 또한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외국과의 교역중단은 물자 부족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이는 물가상승으로 이어져 북한 경제는 더욱 힘겨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같은 분석을 종합해 볼 때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는 북한에게 큰 압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 이같은 국제사회의 단합된 행동에 대해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지 또 다른 강수를 둘 지에 세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출발! 국정투데이 (197회) 클립영상
- 노무현 대통령·푸틴 `북핵 대화 해결 노력` 32:54
- `안보위험·경제불안 증폭돼선 안돼` 32:54
- 프라드코프 러 총리, 17일 방한 32:54
- 대북 제재 강화 본격 돌입 32:54
- UN 대북제재 北 경제에 큰 영향 32:54
- 안보리 결의안 이후 북한의 선택은? 32:54
- 한명숙 총리, 항일의병장 허위 선생 손녀 만나 32:54
- 한미 FTA 의약분야 17일 화상회의 32:54
- 한·아세안 양자 세이프가드 도입 32:54
- 월 212만원 가정까지 산모도우미 파견 32:54
- 기상청 홈피 이용자 중심 전면 개편 32:54
- 개방형 자율학교 시범학교 4곳 선정 32:54
- 사상 첫 아시아 철도 CEO 회의 서울 개최 32:54
- 문화유산 지킴이 김봉건 소장 32:54
- 생활정책 Q&A 32: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