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홈피 이용자 중심 전면 개편
등록일 : 2006.10.17
미니플레이
주 40시간 근무제의 본격 시행으로 기상청 홈페이지를 방문해 기상정보를 알아보는 누리꾼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기상청은 홈페이지를 이용자 중심으로 개편해 17일 밤부터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기자>
메뉴체계가 복잡하고 산만해서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기 힘들었던 기상청 홈페이지가 이용자의 입맛에 맞는 체계로 새단장했습니다.
기상청은 노약자와 같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웹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16일 밤 10시부터 홈페이지를 전면 개편해 서비스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개편에서는 국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정보 단위를 날씨 정보와 열린 행정, 기상배움터와 전자민원, 국민 참여 등 5개로 묶어 초기화면에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로 바로 찾아갈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 이용자 개인이 자주 찾는 정보는 자신만의 메뉴로 설정하는 기능도 추가했습니다.
이밖에도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도 보다 손쉽게 홈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문자 확대.축소 기능과 음성 서비스는 물론 배경색과 글자색을 이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지난 1996년 개설된 기상청 홈페이지는 이용자가 매년 크게 증가해 지난 2001년에는 9백만명이 방문했고, 올해 10월 현재 5천 7백만 명이 방문하는 등 개설 이후 현재까지 2억 6백만 명에 이르는 네티즌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상청은 홈페이지를 이용자 중심으로 개편해 17일 밤부터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기자>
메뉴체계가 복잡하고 산만해서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기 힘들었던 기상청 홈페이지가 이용자의 입맛에 맞는 체계로 새단장했습니다.
기상청은 노약자와 같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웹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16일 밤 10시부터 홈페이지를 전면 개편해 서비스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개편에서는 국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정보 단위를 날씨 정보와 열린 행정, 기상배움터와 전자민원, 국민 참여 등 5개로 묶어 초기화면에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로 바로 찾아갈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 이용자 개인이 자주 찾는 정보는 자신만의 메뉴로 설정하는 기능도 추가했습니다.
이밖에도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도 보다 손쉽게 홈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문자 확대.축소 기능과 음성 서비스는 물론 배경색과 글자색을 이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지난 1996년 개설된 기상청 홈페이지는 이용자가 매년 크게 증가해 지난 2001년에는 9백만명이 방문했고, 올해 10월 현재 5천 7백만 명이 방문하는 등 개설 이후 현재까지 2억 6백만 명에 이르는 네티즌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발! 국정투데이 (197회) 클립영상
- 노무현 대통령·푸틴 `북핵 대화 해결 노력` 32:54
- `안보위험·경제불안 증폭돼선 안돼` 32:54
- 프라드코프 러 총리, 17일 방한 32:54
- 대북 제재 강화 본격 돌입 32:54
- UN 대북제재 北 경제에 큰 영향 32:54
- 안보리 결의안 이후 북한의 선택은? 32:54
- 한명숙 총리, 항일의병장 허위 선생 손녀 만나 32:54
- 한미 FTA 의약분야 17일 화상회의 32:54
- 한·아세안 양자 세이프가드 도입 32:54
- 월 212만원 가정까지 산모도우미 파견 32:54
- 기상청 홈피 이용자 중심 전면 개편 32:54
- 개방형 자율학교 시범학교 4곳 선정 32:54
- 사상 첫 아시아 철도 CEO 회의 서울 개최 32:54
- 문화유산 지킴이 김봉건 소장 32:54
- 생활정책 Q&A 32: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