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대북제재, 北 경제에 큰 영향
등록일 : 2006.10.16
미니플레이
유엔 안보리가 대북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킴에 따라 이제 곧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가 본격화할 전망입니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경제제재만으로는 폐쇄경제 체제인 북한에 대해 별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이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대북 경제제재의 예상 효과를 알아봤습니다.
기자>
지난해 기준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는 총 30억 100만 달러.
이 중 중국과의 교역이 15억 8천만 달러이고, 남한과의 교역이 10억 5천만 달러 규모입니다.
한국과 중국의 교역량이 전체의 80%를 넘어섭니다.
따라서 한.중 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가 본격화할 경우 북한 경제의 충격은 자명하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경제제재가 시행되면 국제사회의 원조가 중단돼 식량난 또한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외국과의 교역중단은 물자 부족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이는 물가상승으로 이어져 북한 경제는 더욱 힘겨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같은 분석을 종합해 볼 때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는 북한에게 큰 압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 이같은 국제사회의 단합된 행동에 대해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지 또 다른 강수를 둘 지에 세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경제제재만으로는 폐쇄경제 체제인 북한에 대해 별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이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대북 경제제재의 예상 효과를 알아봤습니다.
기자>
지난해 기준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는 총 30억 100만 달러.
이 중 중국과의 교역이 15억 8천만 달러이고, 남한과의 교역이 10억 5천만 달러 규모입니다.
한국과 중국의 교역량이 전체의 80%를 넘어섭니다.
따라서 한.중 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가 본격화할 경우 북한 경제의 충격은 자명하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경제제재가 시행되면 국제사회의 원조가 중단돼 식량난 또한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외국과의 교역중단은 물자 부족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이는 물가상승으로 이어져 북한 경제는 더욱 힘겨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같은 분석을 종합해 볼 때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는 북한에게 큰 압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 이같은 국제사회의 단합된 행동에 대해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지 또 다른 강수를 둘 지에 세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KTV 국정와이드 (196회) 클립영상
- 대북 포용정책 이미 조정중 48:44
- 대북 제재위 역할 48:44
- 대북 재재 강화 본격 돌입 48:44
- UN 대북제재, 北 경제에 큰 영향 48:44
- 대북제재 결의안 이후 북한 선택은 48:44
- 북한, 결의 이행하지 않으면 더 큰 제재 48:44
- 독립유공자 격려 48:44
- 외교부, 추한 한국인 불식 협력 약정 체결식 48:44
- 한-아세안 세이프가드 도입 48:44
- 복지부, 산모도우미 지원기준 완화 48:44
- 기상청 홈피, ‘이용자 중심’ 개편 48:44
- 국세청, ‘체납자 통합관리 시스템 만든다’ 48:44
- 동아일보 학생건강검진 보도 관련 교육부 입장 48:44
- 동아일보 하수관 정비사업 보도 관련 환경부 입장 48:44
- 문화유산 지킴이 48:44
- 순간포착 - 민방공 대피훈련 48:44
- 부동산 공급 보완방안 폭넓게 강구 48:44
- 제 1차 아시아 철도 정상회의 48:44
- 개방형 자율학교 시범학교 4곳 선정 48:44
- 대박상품 만들려면 국가통계 활용하라 48:44
- 한국, 2004년 특허출원 세계 4위 48:44
- 다음달부터 새 자동차 신규 번호판 부착 48:44
- 법무부, 혼인가능 연령 남녀‘만18세’통일 48:44
- 산자부 브리핑 4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