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 ‘적절한 대응조치’ 지지 -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등록일 : 2006.10.13
미니플레이
북한의 핵실험 발표가 있은 지 5일째를 맞고 있는 가운데 13일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은 그 의미가 큽니다.
이번 한중 정상회담의 의미와 향후 북핵 대응 방향 등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 홍현익 수석연구위원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Q> 한중 정상은 13일 회담에서 북한 핵 실험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유엔 안보리의 “적절한 대응조치”를 지지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한중정상회담의 의미를 정리해 주시죠.
Q> 중국의 `북핵 중재`가 성사될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중국은 북한 핵실험에는 반대하지만, 강력한 대북제재 대신 외교적 해법에 무게를 싣고 있습니다. 중국의 북, 미 `중재외교` 어떻게 봐야하나요?
Q> 유엔안보리 제재결의안 채택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지는 가운데, 미국이 군사적 제재를 배제한 7장 41조를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초의 군사적 제재에서 비군사적 제재로 바뀐 이유는 무엇인가요?
Q> 아무래도 안보리 결의안이 나온 뒤 북한의 입장은 어떠한가요?
Q> 대북 포용정책을 폐기해야하나, 아니면 상황변화에 맞게 수정하되 기조는 유지해야 하냐를 놓고 의견이 갈리고 있습니다. 정책변화를 제안한다면 어떤 방식이어야 하나요?
이번 한중 정상회담의 의미와 향후 북핵 대응 방향 등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 홍현익 수석연구위원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Q> 한중 정상은 13일 회담에서 북한 핵 실험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유엔 안보리의 “적절한 대응조치”를 지지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한중정상회담의 의미를 정리해 주시죠.
Q> 중국의 `북핵 중재`가 성사될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중국은 북한 핵실험에는 반대하지만, 강력한 대북제재 대신 외교적 해법에 무게를 싣고 있습니다. 중국의 북, 미 `중재외교` 어떻게 봐야하나요?
Q> 유엔안보리 제재결의안 채택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지는 가운데, 미국이 군사적 제재를 배제한 7장 41조를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초의 군사적 제재에서 비군사적 제재로 바뀐 이유는 무엇인가요?
Q> 아무래도 안보리 결의안이 나온 뒤 북한의 입장은 어떠한가요?
Q> 대북 포용정책을 폐기해야하나, 아니면 상황변화에 맞게 수정하되 기조는 유지해야 하냐를 놓고 의견이 갈리고 있습니다. 정책변화를 제안한다면 어떤 방식이어야 하나요?
KTV 국정와이드 (195회) 클립영상
- 한·중 정상, “적절한 대응조치 지지” 47:21
- 한·중 정상, 북핵포기위해 외교채널 총동원 47:21
- 노무현 대통령, 중국에 동북공정 유감 표명 47:21
- 비군사적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 될 듯 47:21
- UN 헌장 제 7장 41조 47:21
- `북한, 경제제재시 심각한 마이너스 성장` 47:21
- 지질자원연구원, 북 핵 실험 장소 수정 47:21
- 북핵문제관련 중국은 수위조절, 일본 제재강행 47:21
- 한중 정상 ‘적절한 대응조치’ 지지 -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47:21
- 北 핵폭격기 요격용 대공포 도입 추진 47:21
- 한국 우주인 1차 선발자 245명 압축 47:21
- 11개국 참가 정부혁신 학술대회 개최 47:21
- 핵우산, 전작권과 무관 47:21
- 건설교통부, `개정안 취지 바로 봐야` 47:21
- 노동부, 전자카드제 활성화 방안 이미 마련 47:21
- 반기문 장관 14일 유엔 사무총장 선임 47:21
- 외화예금 잔액 급증, 200억달러 돌파 47:21
- ‘IPTV’ 시범사업자 선정 47:21
- 앞으로 4년간 석유제품 수입 줄고 수출 증가 47:21
- `내년 수출 3천500억달러, 10% 이상 증가` 47:21
- 송민순 청와대 안보실장 브리핑 4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