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군대로 전환
등록일 : 2006.09.19
미니플레이
전시작전통제권이 전환되면 미군이 감축되고 대북 억지력이 약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습니다.
전작권이 전환될 경우 우리 국방력 어떻게 변하는지 최고다 기자가 보도합니다.
더 빠르게, 더 정확하게, 군대를 가진 국가라면 누구나 자국의 군사력을 최고로 끌어올리기 위해 힘쓰고 있는 목표입니다.
적군의 동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재빠르게 움직여 목표물을 정밀하게 타격하는 기술은 현대전에서 군사력을 가늠하는 기준입니다.
따라서 공군과 해군의 화력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습니다.
제 1차 세계대전의 승패는 육군의 역할이 절대적이였다면 제 2차 세계대전은 공군, 이후의 전쟁은 공군과 해군의 정보력과 기동력, 화력에 전쟁의 승패가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작통권 전환는 굳건한 한미동맹 아래 오랜 계획하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양국이 서로 합의한 전작권 환수의 군사적인 틀은 재래식 지상군 위주의 군사체계에서 빠르게 움직여 정밀하게 타격하는 기동타격으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록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의 숫자는 줄어들지만 동아시아에서 한국의 방위력은 해군과 공군력의 증강으로 더욱 증가 될 전망입니다.
재래식 군에서 첨단 과학화 군대로의 전환과 이제 전작권을 둘러싼 불필요한 논란보다는 저마다의 힘을 모아야할 땝니다.
전작권이 전환될 경우 우리 국방력 어떻게 변하는지 최고다 기자가 보도합니다.
더 빠르게, 더 정확하게, 군대를 가진 국가라면 누구나 자국의 군사력을 최고로 끌어올리기 위해 힘쓰고 있는 목표입니다.
적군의 동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재빠르게 움직여 목표물을 정밀하게 타격하는 기술은 현대전에서 군사력을 가늠하는 기준입니다.
따라서 공군과 해군의 화력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습니다.
제 1차 세계대전의 승패는 육군의 역할이 절대적이였다면 제 2차 세계대전은 공군, 이후의 전쟁은 공군과 해군의 정보력과 기동력, 화력에 전쟁의 승패가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작통권 전환는 굳건한 한미동맹 아래 오랜 계획하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양국이 서로 합의한 전작권 환수의 군사적인 틀은 재래식 지상군 위주의 군사체계에서 빠르게 움직여 정밀하게 타격하는 기동타격으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록 한국에 주둔하는 미군의 숫자는 줄어들지만 동아시아에서 한국의 방위력은 해군과 공군력의 증강으로 더욱 증가 될 전망입니다.
재래식 군에서 첨단 과학화 군대로의 전환과 이제 전작권을 둘러싼 불필요한 논란보다는 저마다의 힘을 모아야할 땝니다.
KTV 국정와이드 (180회) 클립영상
- `추가제재 논의 없었다` 47:34
- 6자회담 재개 위한 외교 노력 본격화 47:34
- 첨단 군대로 전환 47:34
- “성장률 4.6% 적정여부 따라 경제 재조정” 47:34
- `비전 2030,스웨덴식 복지 모델 아니다` 47:34
- 언론의 견강부회 47:34
- 참여정부 동반성장 정책,‘성장·복지 조화’ 핵심 47:34
- 한 총리, `두바이에 총영사관 설치` 47:34
- 4대강 540만평 수변생태벨트로 조성 47:34
- 주요산업 투자 활성화, 경제성장 견인 47:34
- 한-중 교과서 세미나 열려 47:34
- 국민 불안요인 해소, `비전 2030` 출발점 47:34
- 기초생활보장 부정수급 사례 엄정 조치 47:34
- 행자부, 추석 맞이 지방공직감찰 착수 47:34
- 부정·불량 한약재 합동점검 실시 47:34
- 국내은행 해외점포 순익, 외환위기 후 최고 47:34
- 한미 FTA 시민배심원 토론회 개최 47:34
- 시민배심원, 공공 사안 갈등예방모델 활용 47:34
- 한미 FTA 농업대책 조정방안 여론수렴 47:34
- 오늘의 브리핑-소방방재청 4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