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작권 환수 국민 부담 없다
등록일 : 2006.09.13
미니플레이
전시작전통제권 환수를 둘러싼 논란 가운데 전작권이 환수되면 국방비가 크게 늘어 날 거라는 우려가 있습니다.
국방부는 미래에 증가하는 국방비는 전작권 환수 때문이 아닌 우리군을 첨단 과학군으로 바꾸기 위한 사전에 계획된 투자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자>
2006년 현재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 즉 GDP에서 국방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2.6%.
미국이 3.9%, 중국이 3.7% 인 것을 감안하면 매우 낮은 수칩니다.
또 휴전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감안해 쿠웨이트, 러시아, 이집트 등 주요 분쟁국가의 평균치인 5.1%와 비교해도 절반 수준에 불과합니다.
세계 각국은 병력위주의 재래식 군대에서 첨단 정보과학군으로 발전하기 위해 이 같은 천문학적인 국방비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우리군도 세계적인 흐름에 발 맞추고자 지난해 1월부터 국방개혁 2020이라는 중기 계획을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국방비를 늘려 첨단정보과학군으로 새롭게 태어나기 위해 준비해 왔습니다.
따라서 최근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전작권 환수가 국민 세금 증가로 이어진다는 주장은 사실과 맞지 않습니다.
설령 전작권을 환수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첨단과학군으로 거듭나기 위한 국방비 증액은불가피하다는 것이 국방부의 입장입니다.
국방비 증액은 우리군이 병력위주의 재래식 군에서 첨단 과학군으로 거듭나기 위한 필수요건입니다.
국방부는 미래에 증가하는 국방비는 전작권 환수 때문이 아닌 우리군을 첨단 과학군으로 바꾸기 위한 사전에 계획된 투자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자>
2006년 현재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 즉 GDP에서 국방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2.6%.
미국이 3.9%, 중국이 3.7% 인 것을 감안하면 매우 낮은 수칩니다.
또 휴전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감안해 쿠웨이트, 러시아, 이집트 등 주요 분쟁국가의 평균치인 5.1%와 비교해도 절반 수준에 불과합니다.
세계 각국은 병력위주의 재래식 군대에서 첨단 정보과학군으로 발전하기 위해 이 같은 천문학적인 국방비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우리군도 세계적인 흐름에 발 맞추고자 지난해 1월부터 국방개혁 2020이라는 중기 계획을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국방비를 늘려 첨단정보과학군으로 새롭게 태어나기 위해 준비해 왔습니다.
따라서 최근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전작권 환수가 국민 세금 증가로 이어진다는 주장은 사실과 맞지 않습니다.
설령 전작권을 환수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첨단과학군으로 거듭나기 위한 국방비 증액은불가피하다는 것이 국방부의 입장입니다.
국방비 증액은 우리군이 병력위주의 재래식 군에서 첨단 과학군으로 거듭나기 위한 필수요건입니다.
KTV 국정와이드 (176회) 클립영상
- 미국 순방, 한미정상회담 의제 중심으로 47:53
- 대북제재`사실 무근` 47:53
- 전작권 환수 국민 부담 없다 47:53
- 국민 안위 위해 작통권 환수 필요 47:53
- 전출산 고령화 문제,선진국에서 해법 찾는다 47:53
- 저출산.고령화, 정부와 국민이 함께 풀어야 47:53
- 전세자금 지원 2조원으로 확대 47:53
- 중소현 ‘10년 임대주택’ 임대료 30% 낮아져 47:53
- 추석대비 농축산물 최고 5배까지 확대 47:53
- 취업자수 증가폭 30만명대 회복 47:53
- 문화부 게임등급위원회 출범 브리핑 47:53
- 비전2030, 청년층 일자리 창출 47:53
- 의약품, 4차서 본격논의 47:53
- 국민일보 소비자 단체소송 보도 관련 제경부 입장 47:53
- 매일경제신문 예산낭비 보도 관련 기획예산처 입장 47:53
- 서울신문 창덕궁 자유관람 보도 관련 문화재청 입장 47:53
- 한국 2016년 세계 5위 해양강국 진입 47:53
- OECD 국세청장 회의 내일 개막 47:53
- 교통안전촉진대회 47:53
- 중기청, 공공기관 납품 업체 생산자금 지원 47:53
- 건설신기술 정보 실시간 제공 47:53
- 경미한 의상자도 국가가 보상 47:53
- 유아 기본보조금 시범사업 관련-여성가족부 브리핑 47:53
- 대북제재 문제 논의 관련-외교부 브리핑 4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