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산 고령화 문제,선진국에서 해법 찾는다
등록일 : 2006.09.13
미니플레이
우리 사회의 과제로 떠오른 저출산.고령화,과연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까요?
우리나라보다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먼저 맞닥뜨린 선진국들의 대응방향을 살펴보고,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국제정책포럼이 13일 열렸습니다.
한명숙 국무총리가 직접 참석해 귀중한 경험들을 전해 들었습니다.
기자>
저출산 고령화 문제에 관한 국제 포럼이 서울에서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 참석한 한명숙 총리는 이미 20~30년 전 저출산 고령화를 겪었던 선진국들과 문제해결과 대응방안을 함께 모색할 수 있어 큰 힘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선진국들의 경험과 지혜를 나눠달라고 덧붙였습니다.
정부는 그 동안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지난 1월 사회 각 계가 총 망라된 연석회의를 출범시켰고,6월에는 사회협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공보육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노인 인력을 활용하기 위한 사회시스템도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한 총리는 이어 오후에는 저출산 고령화 대책 연석회의에 참석해 공적연금제도의 개혁 방안을 다루는데 잠정 합의했습니다.
정부는 이에따라 공적 연금 논의를 지원하기 위한 전문가 자문 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입니다.
우리나라보다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먼저 맞닥뜨린 선진국들의 대응방향을 살펴보고,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국제정책포럼이 13일 열렸습니다.
한명숙 국무총리가 직접 참석해 귀중한 경험들을 전해 들었습니다.
기자>
저출산 고령화 문제에 관한 국제 포럼이 서울에서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 참석한 한명숙 총리는 이미 20~30년 전 저출산 고령화를 겪었던 선진국들과 문제해결과 대응방안을 함께 모색할 수 있어 큰 힘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선진국들의 경험과 지혜를 나눠달라고 덧붙였습니다.
정부는 그 동안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지난 1월 사회 각 계가 총 망라된 연석회의를 출범시켰고,6월에는 사회협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공보육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노인 인력을 활용하기 위한 사회시스템도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한 총리는 이어 오후에는 저출산 고령화 대책 연석회의에 참석해 공적연금제도의 개혁 방안을 다루는데 잠정 합의했습니다.
정부는 이에따라 공적 연금 논의를 지원하기 위한 전문가 자문 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입니다.
KTV 국정와이드 (176회) 클립영상
- 미국 순방, 한미정상회담 의제 중심으로 47:53
- 대북제재`사실 무근` 47:53
- 전작권 환수 국민 부담 없다 47:53
- 국민 안위 위해 작통권 환수 필요 47:53
- 전출산 고령화 문제,선진국에서 해법 찾는다 47:53
- 저출산.고령화, 정부와 국민이 함께 풀어야 47:53
- 전세자금 지원 2조원으로 확대 47:53
- 중소현 ‘10년 임대주택’ 임대료 30% 낮아져 47:53
- 추석대비 농축산물 최고 5배까지 확대 47:53
- 취업자수 증가폭 30만명대 회복 47:53
- 문화부 게임등급위원회 출범 브리핑 47:53
- 비전2030, 청년층 일자리 창출 47:53
- 의약품, 4차서 본격논의 47:53
- 국민일보 소비자 단체소송 보도 관련 제경부 입장 47:53
- 매일경제신문 예산낭비 보도 관련 기획예산처 입장 47:53
- 서울신문 창덕궁 자유관람 보도 관련 문화재청 입장 47:53
- 한국 2016년 세계 5위 해양강국 진입 47:53
- OECD 국세청장 회의 내일 개막 47:53
- 교통안전촉진대회 47:53
- 중기청, 공공기관 납품 업체 생산자금 지원 47:53
- 건설신기술 정보 실시간 제공 47:53
- 경미한 의상자도 국가가 보상 47:53
- 유아 기본보조금 시범사업 관련-여성가족부 브리핑 47:53
- 대북제재 문제 논의 관련-외교부 브리핑 4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