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유엔기구 ‘유엔거버넌스센터’ 6일 개원
등록일 : 2006.09.05
미니플레이
참여정부가 출범하면서부터 일관되게 추진해 온 정부혁신이 국제사회로부터 인정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국내에는 처음으로 생기는 유엔 산하기구인 유엔거버넌스센터가 1개원되고 이를 기념해 아시아지역 정부혁신 포럼이 열립니다.
유엔본부 산하기구로는 국내 처음인 ‘유엔거버넌스센터’가 6일 문을 엽니다.
유엔거버넌스센터는 유엔경제사회국 소속으로 정부혁신과 부정부패, 지방분권, 시민사회 협력 분야를 연구하는 한편 정책과 개발과 교육훈련 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유엔거버넌스센터를 유치함으로써 우리의 경제사회개발 경험과 정부혁신 노하우 등을 개발도상국에 전파하고, 세계 최고수준의 전자정부사업을 해외에 확산해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여 나갑니다.
유엔거버넌스센터는 지난해 6월 서울에서 열린 제6차 정부혁신 세계포럼에서 채택한 ‘서울선언문’에서 우리나라 유치를 명문화했고 올해 우리 정부와 유엔이 연간 100만 달러의 ‘기술협력신탁기금협정’을 체결하면서 구체화됐습니다.
정부혁신의 성과가 있어야만 가능한 유엔거버넌스센터 설립은 유치단계에서부터 각국의 치열한 경쟁이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에 유엔거버넌스센터를 짓기로 확정한 이후에도 말레이시아와 싱가폴 등 관련국들이 막대한 지원금을 약속하며 결정을 뒤집으려고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유엔거버넌스센터 개원을 기념으로 행정자치부와 유엔경제사회국은 6일부터 8일까지 아시아 21개국이 참가하는 ‘정부혁신 아시아지역포럼’을 개최합니다.
아시아지역을 대표해 서울에서 열리는 이번 회의는 ‘정부의 신뢰 구축과 거버넌스 향상을 위한 혁신`이라는 큰 주제를 바탕으로 공공부문의 혁신, 행정서비스 전달체계의 신뢰 구축, 전자정부, 지방자치 등의 세부 분야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국내에는 처음으로 생기는 유엔 산하기구인 유엔거버넌스센터가 1개원되고 이를 기념해 아시아지역 정부혁신 포럼이 열립니다.
유엔본부 산하기구로는 국내 처음인 ‘유엔거버넌스센터’가 6일 문을 엽니다.
유엔거버넌스센터는 유엔경제사회국 소속으로 정부혁신과 부정부패, 지방분권, 시민사회 협력 분야를 연구하는 한편 정책과 개발과 교육훈련 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유엔거버넌스센터를 유치함으로써 우리의 경제사회개발 경험과 정부혁신 노하우 등을 개발도상국에 전파하고, 세계 최고수준의 전자정부사업을 해외에 확산해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여 나갑니다.
유엔거버넌스센터는 지난해 6월 서울에서 열린 제6차 정부혁신 세계포럼에서 채택한 ‘서울선언문’에서 우리나라 유치를 명문화했고 올해 우리 정부와 유엔이 연간 100만 달러의 ‘기술협력신탁기금협정’을 체결하면서 구체화됐습니다.
정부혁신의 성과가 있어야만 가능한 유엔거버넌스센터 설립은 유치단계에서부터 각국의 치열한 경쟁이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에 유엔거버넌스센터를 짓기로 확정한 이후에도 말레이시아와 싱가폴 등 관련국들이 막대한 지원금을 약속하며 결정을 뒤집으려고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유엔거버넌스센터 개원을 기념으로 행정자치부와 유엔경제사회국은 6일부터 8일까지 아시아 21개국이 참가하는 ‘정부혁신 아시아지역포럼’을 개최합니다.
아시아지역을 대표해 서울에서 열리는 이번 회의는 ‘정부의 신뢰 구축과 거버넌스 향상을 위한 혁신`이라는 큰 주제를 바탕으로 공공부문의 혁신, 행정서비스 전달체계의 신뢰 구축, 전자정부, 지방자치 등의 세부 분야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KTV 국정와이드 (170회) 클립영상
- ‘해운협정, 양국 큰 이익 될것’ 47:41
- 한-그리스 해운협정, ‘12년만의 결실’ 47:41
- ‘3차 협상 자신있다’ 47:41
- FTA 3차 협상 농업과 의약품 분야 팽팽한 힘겨루기 될것 47:41
- 공산품 이익 ‘극대화’ 47:41
- 한명숙 총리, `한미 FTA 불필요한 오해 줄어` 47:41
- 칠레, 전세계 구리 40% 생산 47:41
- 그리스 언론, 한국의 조선과 IT산업 소개 47:41
- 주민투표권자 연령 19세로 조정 47:41
- 국내 첫 유엔기구 ‘유엔거버넌스센터’ 6일 개원 47:41
- 비정규직 고용개선 종합대책 47:41
- ‘인적 투자’는 미래의 성장동력 47:41
- 정부, `동북공정 연구물` 검토후 외교대응 방침 47:41
- 테크노닥터(퇴직과학기술자) 활용대상 선정 47:41
- 장애학생 e-sports 대회 47:41
- 순간포착- 2006 장애인 고용촉진대회 47:41
- 중앙일보 건보료 고액체납 보도 관련 국민건강보험공단 입장 47:41
- 한일 EEZ 경계획정 결론 못내 47:41
- 연말까지 대체복무 원칙 기준 마련 47:41
- 고령자 배려 주거시설 기준 KS로 제정 47:41
- 2007년 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 확정 4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