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학생 e-sports 대회
등록일 : 2006.09.05
미니플레이
우리나라는 정부의 강력한 정보화 추진 의지에 따라 IT 강국으로 올라섰지만 장애인들에 대한 정보화 지원은 아직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9월 5일 장애 학생들의 정보활용 능력을 높이기 위한 자리가 마련돼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올해 중학교 1학년인 욱주는 농구를 좋아합니다.
친구들과 직접 몸을 부딪히며 농구를 하고 싶지만 7살 때부터 몸에 힘이 빠지는 근무력증을 앓고 있어 온라인 게임으로 대신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 욱주가 가상공간에서의 경기인 e스포츠대회에 출전해 다른팀과 가진 온라인 농구시합에서 이겼습니다.
이처럼 장애 학생들의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고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 간의 정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전국특수교육정보화 대회와 장애학생 e스포츠 대회가 열렸습니다.
“몸이 불편하고 보이지 않고, 듣지 못한다고 해서 소외될 수는 없습니다.
정보의 바다에 장애란 없습니다.
이번 대회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과 기회를 발견하길 바랍니다.”
전국 16개 시도에서 장애학생과 교사, 일반학생 등 모두 2500명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는 장애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행사가 마련됐습니다.
e 스포츠 대회에 참석한 학생들은 저마다 진지한 눈빛으로 게임에 몰두합니다.
게임에 집중하는 모습 속에서 몸이 불편한 것을 전혀 느낄 수 없습니다.
한켠에서는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보드 게임인 피퍼가 한창 진행되고 있습니다.
같은 시각 전국 특수교육 정보화 대회도 열립니다.
한글타자와 워드프로세서 정보 경진대회에 참가한 학생들은 저마다 빠른 손놀림으로 타자를 칩니다.
놀라운 집중력으로 어른도 따라가지 못할 정돕니다.
전국 특수교육 산업 박람회에서는 학습에 도움이 되는 각종 기자재와 소프트웨어를 선입니다.
장애 체험행사를 통해서 장애인들이 겪는 어려움을 직접 체험해 볼 수도 있습니다.
비장애인이 느낄 수 있는 장애인의 어려움은 아주 작습니다.
그러나 이번 행사를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간의 정보격차 해소는 물론, 장애인에 대한 편견의 벽을 뛰어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9월 5일 장애 학생들의 정보활용 능력을 높이기 위한 자리가 마련돼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올해 중학교 1학년인 욱주는 농구를 좋아합니다.
친구들과 직접 몸을 부딪히며 농구를 하고 싶지만 7살 때부터 몸에 힘이 빠지는 근무력증을 앓고 있어 온라인 게임으로 대신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 욱주가 가상공간에서의 경기인 e스포츠대회에 출전해 다른팀과 가진 온라인 농구시합에서 이겼습니다.
이처럼 장애 학생들의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고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 간의 정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전국특수교육정보화 대회와 장애학생 e스포츠 대회가 열렸습니다.
“몸이 불편하고 보이지 않고, 듣지 못한다고 해서 소외될 수는 없습니다.
정보의 바다에 장애란 없습니다.
이번 대회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과 기회를 발견하길 바랍니다.”
전국 16개 시도에서 장애학생과 교사, 일반학생 등 모두 2500명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는 장애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행사가 마련됐습니다.
e 스포츠 대회에 참석한 학생들은 저마다 진지한 눈빛으로 게임에 몰두합니다.
게임에 집중하는 모습 속에서 몸이 불편한 것을 전혀 느낄 수 없습니다.
한켠에서는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보드 게임인 피퍼가 한창 진행되고 있습니다.
같은 시각 전국 특수교육 정보화 대회도 열립니다.
한글타자와 워드프로세서 정보 경진대회에 참가한 학생들은 저마다 빠른 손놀림으로 타자를 칩니다.
놀라운 집중력으로 어른도 따라가지 못할 정돕니다.
전국 특수교육 산업 박람회에서는 학습에 도움이 되는 각종 기자재와 소프트웨어를 선입니다.
장애 체험행사를 통해서 장애인들이 겪는 어려움을 직접 체험해 볼 수도 있습니다.
비장애인이 느낄 수 있는 장애인의 어려움은 아주 작습니다.
그러나 이번 행사를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간의 정보격차 해소는 물론, 장애인에 대한 편견의 벽을 뛰어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KTV 국정와이드 (170회) 클립영상
- ‘해운협정, 양국 큰 이익 될것’ 47:41
- 한-그리스 해운협정, ‘12년만의 결실’ 47:41
- ‘3차 협상 자신있다’ 47:41
- FTA 3차 협상 농업과 의약품 분야 팽팽한 힘겨루기 될것 47:41
- 공산품 이익 ‘극대화’ 47:41
- 한명숙 총리, `한미 FTA 불필요한 오해 줄어` 47:41
- 칠레, 전세계 구리 40% 생산 47:41
- 그리스 언론, 한국의 조선과 IT산업 소개 47:41
- 주민투표권자 연령 19세로 조정 47:41
- 국내 첫 유엔기구 ‘유엔거버넌스센터’ 6일 개원 47:41
- 비정규직 고용개선 종합대책 47:41
- ‘인적 투자’는 미래의 성장동력 47:41
- 정부, `동북공정 연구물` 검토후 외교대응 방침 47:41
- 테크노닥터(퇴직과학기술자) 활용대상 선정 47:41
- 장애학생 e-sports 대회 47:41
- 순간포착- 2006 장애인 고용촉진대회 47:41
- 중앙일보 건보료 고액체납 보도 관련 국민건강보험공단 입장 47:41
- 한일 EEZ 경계획정 결론 못내 47:41
- 연말까지 대체복무 원칙 기준 마련 47:41
- 고령자 배려 주거시설 기준 KS로 제정 47:41
- 2007년 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 확정 4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