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건보료 고액체납 보도 관련 국민건강보험공단 입장
등록일 : 2006.09.05
미니플레이
중앙일보는 9월 5일 “건강보험료 안 내는 부자들 많다” 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중앙일보는 건강보험료 고액체납자 상위 50인의 평균 연간 소득이 1억 4천여 만원에 이르는 등 고소득자들의 건강보험료 체납이 심각하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따라 상습 체납자들의 재산을 더욱 철저히 파악해서 체납액을 환수하는데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체납 보험료의 징수 상황에 대해 보다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격징수실의 김민학 차장 전화연결해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예민수> Q1.
건강보험료 체납 실태가 심각하다는 보도가 있었는데요, 밀린 보험료를 걷기 위해서 건강보험공단에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습니까?
<김민학>
○ 우리 공단에서는 건물 및 토지 자동차 등을 보유하고 있는 체납세대에 대하여는 압류후 공매 등 강제 징수를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고소득 체납자에 대하여는 ‘05. 7월부터 6개지역본부에서 운영 중인 체납관리 전담팀에서 특별 관리로 공매 등 강제 징수를 실시 체납보험료 징수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예민수> Q2.
보도에서는 연예인 등 전문직 종사자의 고액 체납 사례를 전하고 있습니다.
고액체납자의 체납액 징수는 어떻게 진행되고 앞으로 어떤 계획을 갖고 있는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민학>
○ 보도에서 언급된 유명 연예인의 경우 체납개월 수가 7개월로 체납처분 승인을 받아 압류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고액체납자의 경우, 재산이 있는 46세대는 전건 재산을 압류하여 채권을 확보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독려를 하여 최대한 자진납부를 유도하고 계속하여 납부를 거부할 경우 압류물건을 공매 처분하여 보험료를 징수할 것입니다. 재산이 없는 세대의 경우에는 예금 채권 등을 확보하여 압류를 진행토록 하겠습니다.
중앙일보는 건강보험료 고액체납자 상위 50인의 평균 연간 소득이 1억 4천여 만원에 이르는 등 고소득자들의 건강보험료 체납이 심각하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따라 상습 체납자들의 재산을 더욱 철저히 파악해서 체납액을 환수하는데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체납 보험료의 징수 상황에 대해 보다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격징수실의 김민학 차장 전화연결해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예민수> Q1.
건강보험료 체납 실태가 심각하다는 보도가 있었는데요, 밀린 보험료를 걷기 위해서 건강보험공단에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습니까?
<김민학>
○ 우리 공단에서는 건물 및 토지 자동차 등을 보유하고 있는 체납세대에 대하여는 압류후 공매 등 강제 징수를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고소득 체납자에 대하여는 ‘05. 7월부터 6개지역본부에서 운영 중인 체납관리 전담팀에서 특별 관리로 공매 등 강제 징수를 실시 체납보험료 징수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예민수> Q2.
보도에서는 연예인 등 전문직 종사자의 고액 체납 사례를 전하고 있습니다.
고액체납자의 체납액 징수는 어떻게 진행되고 앞으로 어떤 계획을 갖고 있는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김민학>
○ 보도에서 언급된 유명 연예인의 경우 체납개월 수가 7개월로 체납처분 승인을 받아 압류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고액체납자의 경우, 재산이 있는 46세대는 전건 재산을 압류하여 채권을 확보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독려를 하여 최대한 자진납부를 유도하고 계속하여 납부를 거부할 경우 압류물건을 공매 처분하여 보험료를 징수할 것입니다. 재산이 없는 세대의 경우에는 예금 채권 등을 확보하여 압류를 진행토록 하겠습니다.
KTV 국정와이드 (170회) 클립영상
- ‘해운협정, 양국 큰 이익 될것’ 47:41
- 한-그리스 해운협정, ‘12년만의 결실’ 47:41
- ‘3차 협상 자신있다’ 47:41
- FTA 3차 협상 농업과 의약품 분야 팽팽한 힘겨루기 될것 47:41
- 공산품 이익 ‘극대화’ 47:41
- 한명숙 총리, `한미 FTA 불필요한 오해 줄어` 47:41
- 칠레, 전세계 구리 40% 생산 47:41
- 그리스 언론, 한국의 조선과 IT산업 소개 47:41
- 주민투표권자 연령 19세로 조정 47:41
- 국내 첫 유엔기구 ‘유엔거버넌스센터’ 6일 개원 47:41
- 비정규직 고용개선 종합대책 47:41
- ‘인적 투자’는 미래의 성장동력 47:41
- 정부, `동북공정 연구물` 검토후 외교대응 방침 47:41
- 테크노닥터(퇴직과학기술자) 활용대상 선정 47:41
- 장애학생 e-sports 대회 47:41
- 순간포착- 2006 장애인 고용촉진대회 47:41
- 중앙일보 건보료 고액체납 보도 관련 국민건강보험공단 입장 47:41
- 한일 EEZ 경계획정 결론 못내 47:41
- 연말까지 대체복무 원칙 기준 마련 47:41
- 고령자 배려 주거시설 기준 KS로 제정 47:41
- 2007년 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 확정 4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