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 국가운명 갈라
등록일 : 2006.09.04
미니플레이
국가의 장기비전은 왜 필요한 것일까요? 이미 오래전부터 비전수립을 통해 국가 방향을 설정해 추진하고 있는 선진국들로부터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자>
인구 430만명의 섬나라 싱가포르. 전 세계를 상대로 금융 허브의 중심이 된 아시아 비즈니스의 거점입니다.
80년대, 싱가포르는 장기불황을 겪으며 국가 위기 상태를 맞습니다.
위기를 바꾼 원동력은 90년대 수립한 국가 비전 전략입니다.
싱가포르는 지난 2003년 국가 장기전략보고서 비전 2018을 발표했습니다.
이 같은 정부차원의 장기발전전략에 힙입어 싱가포르는 지난 85년부터 2001년까지 평균 7.3%의 경제성장률과 연 12%의 수출성장을 기록, 2001년에는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이렇듯 국가 장기비전을 수립해 미래의 문제에 대응하고 있는 국가는 비단 싱가포르뿐이 아닙니다.
지난 2002년 설립된 영국의 미래진흥청이나 미국의 국가정보회, 호주의 미래위원회에서도 국가차원의 장기미래전략을 수립해 추진해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선진국들이 앞다퉈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이유는 뭘까.
전문가들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첫 번째 이유로 꼽습니다.
미래 전략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것도 미래비전제시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미래의 사회현상을 연구하는 세계미래회의는 지난해와 올해 사이 미래예측 수요가 70%이상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불확실성이 큰 21세기에 지속적인 국가발전을 위해서는 미래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가 필수라는 설명입니다.
10년, 20년 앞을 내다보는 국가 장기미래전략, 미래를 위한 예방적 투자입니다.
기자>
인구 430만명의 섬나라 싱가포르. 전 세계를 상대로 금융 허브의 중심이 된 아시아 비즈니스의 거점입니다.
80년대, 싱가포르는 장기불황을 겪으며 국가 위기 상태를 맞습니다.
위기를 바꾼 원동력은 90년대 수립한 국가 비전 전략입니다.
싱가포르는 지난 2003년 국가 장기전략보고서 비전 2018을 발표했습니다.
이 같은 정부차원의 장기발전전략에 힙입어 싱가포르는 지난 85년부터 2001년까지 평균 7.3%의 경제성장률과 연 12%의 수출성장을 기록, 2001년에는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이렇듯 국가 장기비전을 수립해 미래의 문제에 대응하고 있는 국가는 비단 싱가포르뿐이 아닙니다.
지난 2002년 설립된 영국의 미래진흥청이나 미국의 국가정보회, 호주의 미래위원회에서도 국가차원의 장기미래전략을 수립해 추진해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선진국들이 앞다퉈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이유는 뭘까.
전문가들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첫 번째 이유로 꼽습니다.
미래 전략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것도 미래비전제시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미래의 사회현상을 연구하는 세계미래회의는 지난해와 올해 사이 미래예측 수요가 70%이상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불확실성이 큰 21세기에 지속적인 국가발전을 위해서는 미래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가 필수라는 설명입니다.
10년, 20년 앞을 내다보는 국가 장기미래전략, 미래를 위한 예방적 투자입니다.
KTV 국정와이드 (169회) 클립영상
- 그리스와 해운·관광 협력협정 체결 48:40
- 한미 FTA, 가장 큰 힘은 ‘국민 성원’ 48:40
- 한미 FTA 3차 협상, 농산물 vs 섬유 힘겨루기 48:40
- 칠레의 `꼬레아 열풍` 48:40
- 장애인 삶의 질 향상 종합대책 마련 48:40
- 한명숙 총리, `장애가구 지속적으로 지원` 48:40
- 한명숙 총리, `명분 없는 불법 파업 안돼` 48:40
- 농산어촌·저소득층 자녀 방과후 학교 지원 48:40
- 한국은행, 경제교육 웹사이트 문 열어 48:40
- 외환보유액 증가, 8월말 2천270억달러 48:40
- 비전, 국가운명 갈라 48:40
- `미래에 대한 직무유기 안돼` 48:40
- 성장·복지 함께가는 비전 2030 48:40
- 수도권 대기정책관련보도, 신뢰성 검증 필요 48:40
- 주한외교사절, 한국 전통문화 체험 48:40
- `역모기지` 지방세 감면 48:40
- 배타적 경제수역 경계획정 6차회담, 이견 못 좁혀 4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