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건전비판 수용과 오보 대응 52.4%가 바람직
등록일 : 2006.08.29
미니플레이
정부가 상반기 언론의 비판보도를 정책에 반영한 사례는 368건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중앙부처 출입기자 52%가 정부의 언론비판 수용과 오보대응에 대해 바람직하다고 설문결과가 나왔습니다
정부가 운영중인 정책기사 점검시스템 결과를 정리했습니다
올 상반기 중 정부가 언론의 비판 보도를 정책에 반영한 사례와 오보 대응은 각각 368건, 238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전비판 보도 수용은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26.7% 늘어났습니다
국정홍보처 안영배 차장은 오늘 정부가 운용 중인 정책기사 점검시스템의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상반기 중 42개 각 부처청이 368건의 언론보도를 수용해 법률 제개정 등의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습니다.
수용 유형별로 보면 제도개선에 반영한 경우와 행정조치가 각각 161건(43.8%),149건(40.5%)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시행령 등 제개정(8.1%), 법률 제개정(7.6%) 등 조치도 이뤄졌습니다.
부처별로는 교육부 36건, 환경부 29건, 산자부 26건 등 비판 수용을 많이 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38건의 오보 대응을 유형별로 보면 정정 요청 119건, 반론 요청 49건 등언론사 직접 대응이 168건 이었습니다
법적 대응은 언론중재위 정정 신청 38건, 언론중재위 반론 신청 28건, 소송 4건 등 70건 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정부가 오보에 대해 해당 언론사에 법적으로 대응했을 경우 현재 진행 중인 4건을 제외하면 피해 구제율은 83.3%에 달했으며, 언론이 직접 정정, 반론문 등을 반영한 사례까지 포함하면 정부 대응 수용률은 86.9%에 이릅니다.
한편 정부의 정책기사 점검시스템을 통한 대응에 대해 공무원들은 물론 부처 출입 기자들도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정홍보처는 각 부처 257명의 공무원과 중앙부처 출입기자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 공무원들은 정부 차원의 언론보도 수용과 대응 시스템에 대해 86.3%가 올바른 방향이라고 답했습니다
중앙부처 출입기자들 역시 정부의 건전비판 수용과 오보 대응에 대해 52.4%가 바람직하다고 답했습니다
또 중앙부처 출입기자 52%가 정부의 언론비판 수용과 오보대응에 대해 바람직하다고 설문결과가 나왔습니다
정부가 운영중인 정책기사 점검시스템 결과를 정리했습니다
올 상반기 중 정부가 언론의 비판 보도를 정책에 반영한 사례와 오보 대응은 각각 368건, 238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전비판 보도 수용은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26.7% 늘어났습니다
국정홍보처 안영배 차장은 오늘 정부가 운용 중인 정책기사 점검시스템의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상반기 중 42개 각 부처청이 368건의 언론보도를 수용해 법률 제개정 등의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습니다.
수용 유형별로 보면 제도개선에 반영한 경우와 행정조치가 각각 161건(43.8%),149건(40.5%)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시행령 등 제개정(8.1%), 법률 제개정(7.6%) 등 조치도 이뤄졌습니다.
부처별로는 교육부 36건, 환경부 29건, 산자부 26건 등 비판 수용을 많이 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38건의 오보 대응을 유형별로 보면 정정 요청 119건, 반론 요청 49건 등언론사 직접 대응이 168건 이었습니다
법적 대응은 언론중재위 정정 신청 38건, 언론중재위 반론 신청 28건, 소송 4건 등 70건 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정부가 오보에 대해 해당 언론사에 법적으로 대응했을 경우 현재 진행 중인 4건을 제외하면 피해 구제율은 83.3%에 달했으며, 언론이 직접 정정, 반론문 등을 반영한 사례까지 포함하면 정부 대응 수용률은 86.9%에 이릅니다.
한편 정부의 정책기사 점검시스템을 통한 대응에 대해 공무원들은 물론 부처 출입 기자들도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정홍보처는 각 부처 257명의 공무원과 중앙부처 출입기자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 공무원들은 정부 차원의 언론보도 수용과 대응 시스템에 대해 86.3%가 올바른 방향이라고 답했습니다
중앙부처 출입기자들 역시 정부의 건전비판 수용과 오보 대응에 대해 52.4%가 바람직하다고 답했습니다
KTV 국정와이드 (165회) 클립영상
- 제14차 ‘ILO 아시아.태평양총회 개막’ 48:27
- 양극화 해결 핵심은 일자리 창출 48:27
- 한명숙 총리 대국민 사과,국무회의 종합 48:27
- 국방비 증가,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와 무관 48:27
- 주민번호 단순도용도 처벌 48:27
- 장애학생 고등학교까지 의무교육 확대 48:27
- 대학 재학 중기 근로자 학자금 지원 48:27
- 기상청, 아시아 개도국 예보지원 확대 48:27
- 한미FTA 소재산업 선진화 디딤돌 48:27
- ‘Korea Customs Way’로 관세청 핵심가치 정립 48:27
- 통계청 7월 산업활동 동향 48:27
- 중앙일보 주택실거래가 공개 보도 관련 건교부 입장 48:27
- 정부의 건전비판 수용과 오보 대응 52.4%가 바람직 48:27
- 조선일보 프랜차이즈 육성책 보도 관련 산자부입장 48:27
- 순간포착 4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