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년만에 새역사 쓰다` 용산의 어제와 오늘, 미래
등록일 : 2006.08.24
미니플레이
서울의 한가운데에 자리한 용산.
산수지리가 훌륭하고 한강을 껴 수륙교통의 요충지였던 용산은 외국 군대가 가장 욕심내는 곳이었습니다.
용산에 외국 군대가 처음 주둔했던 것은 고려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몽고군이 고려를 침략해 용산을 병참기지로 활용했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왜군이 용산에 주둔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왜군은 이곳에 군수물자가 집결시키고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했습니다.
북으로는 북한산, 남산 등의 산이 둘러 쌓여있고 남으로는 한강이 마주하고 있어 방어가 용이하고 교통이 편리했기 때문입니다.
근대사회로 접어들어서도 외국군의 용산 주둔은 계속 됐습니다.
1882년 임오군란 때는 청나라 군대가 용산을 차지했습니다.
이후 1904년 러일 전쟁 이후에는 일본이 임진왜란에 이어 다시 용산의 주인이 됐습니다.
일본은 용산 일대의 300만평을 수용해 조선군 사령부를 두고 용산을 우리나라와 만주침략의 거점으로 활용했습니다.
1945년 광복을 맞았지만 용산은 우리국민의 곁으로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1945년 9월 미군 제 24 사단이 용산기지에 차지했고 1978년 이곳에 한미연합사령부가 창설되면서 규모가 커져 용산은 미군주둔의 상징적인 곳으로 자리매김 합니다.
동서로 흐르는 한강을 앞에두고 북한산, 남산, 관악산을 남북으로 잇는 교차지역 용산.
서울의 중심이자 교통의 요지인 용산의 역사는 외국군이 주둔하며 주인행세를 했던 아픔의 역사였습니다.
오랜기간 외국군이 주둔함에 따라 우리국민이 다가서지 못했던 아픈 역사의 땅 용산.
이제는 그 아픔을 승화시켜 대한민국의 푸른 희망의 땅으로 다시 태어나게 됩니다.
산수지리가 훌륭하고 한강을 껴 수륙교통의 요충지였던 용산은 외국 군대가 가장 욕심내는 곳이었습니다.
용산에 외국 군대가 처음 주둔했던 것은 고려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몽고군이 고려를 침략해 용산을 병참기지로 활용했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왜군이 용산에 주둔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왜군은 이곳에 군수물자가 집결시키고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했습니다.
북으로는 북한산, 남산 등의 산이 둘러 쌓여있고 남으로는 한강이 마주하고 있어 방어가 용이하고 교통이 편리했기 때문입니다.
근대사회로 접어들어서도 외국군의 용산 주둔은 계속 됐습니다.
1882년 임오군란 때는 청나라 군대가 용산을 차지했습니다.
이후 1904년 러일 전쟁 이후에는 일본이 임진왜란에 이어 다시 용산의 주인이 됐습니다.
일본은 용산 일대의 300만평을 수용해 조선군 사령부를 두고 용산을 우리나라와 만주침략의 거점으로 활용했습니다.
1945년 광복을 맞았지만 용산은 우리국민의 곁으로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1945년 9월 미군 제 24 사단이 용산기지에 차지했고 1978년 이곳에 한미연합사령부가 창설되면서 규모가 커져 용산은 미군주둔의 상징적인 곳으로 자리매김 합니다.
동서로 흐르는 한강을 앞에두고 북한산, 남산, 관악산을 남북으로 잇는 교차지역 용산.
서울의 중심이자 교통의 요지인 용산의 역사는 외국군이 주둔하며 주인행세를 했던 아픔의 역사였습니다.
오랜기간 외국군이 주둔함에 따라 우리국민이 다가서지 못했던 아픈 역사의 땅 용산.
이제는 그 아픔을 승화시켜 대한민국의 푸른 희망의 땅으로 다시 태어나게 됩니다.
KTV 국정와이드 (162회) 클립영상
- 용산기지 공원화 선포식 48:33
- 용산기지 공원화 2045년까지 완성 48:33
- `124년만에 새역사 쓰다` 용산의 어제와 오늘, 미래 48:33
- 사행성게임 관계장관회의 48:33
- 반기문 장관 “노 대통령 10월 중순 방중 기대” 48:33
- 정부, 北 수해 지원에 2천413억원 투입 48:33
- 건교부, 아파트 실거래가 공개 48:33
- 소득계층간 암 발생률.생존률 차이 많아, 암조기 검진 지원강화 48:33
- FTA를 통한 유통산업 경쟁력 제고 48:33
- 한덕수 위원장 `FTA 협상 중단 안돼` 48:33
- 조선업 올 상반기 전분야 `호조` 48:33
- 정부, 발전노조 파업 법과 원칙 대로 대응 48:33
- 교육부, 초,중,고등학교 교육통계 발표 48:33
- 국세청, 세무조사 축소 및 운영방식 혁신 방안 발표 48:33
- 과기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48:33
- 전작권 환수해도 미군 증원 보장 48:33
- 소수자 추가공제, 형평성 개선차원 폐지 48:33
- 중앙일보 호남고속철 보도 관련 건교부 입장 48:33
- 마약청정국은 그대로 48:33
- 50대 핵심소재 원천기술개발에 8천500억 지원 48:33
- 행정도시 `첫마을` 설계 18팀 경쟁 48:33
- 노동부 고령화시대 바람직한 정년제도 토론회 개최 48:33
- 국내 휘발유·경유 품질 최고 수준 48:33
- 재경부 브리핑 4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