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양어선 안전 조업 협의회 해적 대책
등록일 : 2006.08.04
미니플레이
정부가 제2의 동원호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우리 선박들이 위험 지역에서 조업을 원할 경우 안전여부를 심사해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최근 소말리아 무장세력에게 억류됐다 풀려난 원양어선 `동원628호` 사건을 계기로 위험수역에서의 해적피해 예방을 위해 정부가 대책마련에 돌입했습니다.
우선 해양수산부는 지난3일 원양어선의 안전한 조업을 위한 대책 수립을 위해 외교통상부, 해양경찰청, 한국원양어업협회 등과 손을 잡고 `원양어선안전조업협의회`를 구성했습니다.
이번에 구성된 협의회는 위험수역에서 우리 선박의 조업 여부를 결정합니다.
4일 해수부에서 열린 첫 번째 회의에서는 동원호 피랍사건의 개요와 위험수역 입어문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특히 위험수역에서의 조업은 최대한 신중하게 한다는 방침을 정했습니다.
소말리아 근해 등 위험수역에서는 해당국 정부의 입어 허가증이 있더라도 해적피해를 완전하게 예방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질적인 안전이 확보되기 전에는 입어 자체를 당분간 보류하기로 결론지었습니다.
또 우리어선에 위험신호가 포착될 경우 단계별로 대응방안이 기재된 매뉴얼을 작성키로 했습니다.
제 2의 동원호 사건을 방지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우리 선박들이 위험 지역에서 조업을 원할 경우 안전여부를 심사해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최근 소말리아 무장세력에게 억류됐다 풀려난 원양어선 `동원628호` 사건을 계기로 위험수역에서의 해적피해 예방을 위해 정부가 대책마련에 돌입했습니다.
우선 해양수산부는 지난3일 원양어선의 안전한 조업을 위한 대책 수립을 위해 외교통상부, 해양경찰청, 한국원양어업협회 등과 손을 잡고 `원양어선안전조업협의회`를 구성했습니다.
이번에 구성된 협의회는 위험수역에서 우리 선박의 조업 여부를 결정합니다.
4일 해수부에서 열린 첫 번째 회의에서는 동원호 피랍사건의 개요와 위험수역 입어문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특히 위험수역에서의 조업은 최대한 신중하게 한다는 방침을 정했습니다.
소말리아 근해 등 위험수역에서는 해당국 정부의 입어 허가증이 있더라도 해적피해를 완전하게 예방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질적인 안전이 확보되기 전에는 입어 자체를 당분간 보류하기로 결론지었습니다.
또 우리어선에 위험신호가 포착될 경우 단계별로 대응방안이 기재된 매뉴얼을 작성키로 했습니다.
제 2의 동원호 사건을 방지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KTV 국정와이드 (149회) 클립영상
- 청와대 `생각 같고, 손발 맞아야` 47:41
- 농산물값 폭등 없다 47:41
- 도서관 여름 프로그램 47:41
- 휴가철 선박안전 수칙 47:41
- 양허안 앞두고 농민·전문가 의견수렴 47:41
- 농산물 민감 품목, FTA 개방예외 분류 47:41
- 한·미 의약품 건보 선별등재 협상 본격화 47:41
- 강남권 재건축 시가총액 1조원 이상 감소 47:41
- ILO 앞두고 노사정 바쁘다 47:41
- 북, 총 경작지 2% 피해 47:41
- `중국, 극단적 대북 제재 안할 것` 47:41
- 신 BIS란 무엇인가 47:41
- 신 BIS 협약 도입 본격추진 47:41
- 원양어선 안전 조업 협의회 해적 대책 47:41
- 경향신문 노인폭염대책 보도 관련 소방방재청 입장 47:41
- 일자리 창출 보도 관련 김현근 기자 리포팅 47:41
- 법무부 출입국관리국 시각상징 선포 47:41
- 열대야 다음달까지 계속 47:41
- 가스안전공사, 재래시장 가스안전활동 전개 4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