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섬유산업 13.6% 수출확대 전망
등록일 : 2006.07.31
미니플레이
우리나라 섬유 수출의 17%가 미국시장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 만큼 한미FTA 체결은 섬유산업에 있어서도 큰 의미를 갖습니다.
한미FTA는 우리 섬유산업에 어떤 변화를 가져다줄지, 또 섬유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선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박소연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제조업 최대의 고용창출 산업이자 대규모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며 외화획득에 중추적 역할을 해온 섬유산업.
하지만 국내 섬유산업은 80년대 중반 이후 제조업 생산과 고용지수, 국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줄어들고 있습니다.
임금 상승과 원화절상으로 가격경쟁력이 크게 떨어지고 설비투자 부진으로 생산설비가 노후화하면서 생산 효율성도 크게 저하됐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세계적인 수요 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것도 섬유산업의 여건이 힘들어진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의 FTA 체결로 국내 섬유산업은 3억 1600만 달러의 수출확대 효과를 거둘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산업연구원이 내놓은 `한미 FTA를 통한 섬유산업의 선진화 전략` 보고서는 한미FTA 체결 이후 관세인하 효과로 대미수출이 13.6% 확대되고 미국산 섬유소재를 사용하는 국내 완제품 생산업체들도 비용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수입 장벽이 제거되면서 고부가가치 산업용섬유와 면직물 등의 수입은 늘어날 수 있다는 점과, 고기능성.고성능 기초 소재가 낮은 가격으로 수입되면서 국내 업체들의 기초 소재에 대한 기술개발 의지가 약해질 수 있다는 점은 해결해야할 부분으로 남아 있다고 지적합니다.
기업에서 좀더 고부가가치의 차별화된 제품 위주의 생산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정부는 산업용 섬유 생산비중을 현재 25%에서 2015년까지 40%로 높이고 우리나라를 섬유소재의 글로벌 공급기지로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유망기업과 고부가가치 업종으로 구조조정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연구개발투자를 확대하고 생산 기반 또한 고도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생산 기반 고도화 어떻게 어려운 경쟁 여건에 처한 국내 섬유산업.
한미 FTA를 섬유산업 체질 강화의 계기로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한 땝니다.
한미FTA는 우리 섬유산업에 어떤 변화를 가져다줄지, 또 섬유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선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박소연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제조업 최대의 고용창출 산업이자 대규모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며 외화획득에 중추적 역할을 해온 섬유산업.
하지만 국내 섬유산업은 80년대 중반 이후 제조업 생산과 고용지수, 국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줄어들고 있습니다.
임금 상승과 원화절상으로 가격경쟁력이 크게 떨어지고 설비투자 부진으로 생산설비가 노후화하면서 생산 효율성도 크게 저하됐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세계적인 수요 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것도 섬유산업의 여건이 힘들어진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의 FTA 체결로 국내 섬유산업은 3억 1600만 달러의 수출확대 효과를 거둘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산업연구원이 내놓은 `한미 FTA를 통한 섬유산업의 선진화 전략` 보고서는 한미FTA 체결 이후 관세인하 효과로 대미수출이 13.6% 확대되고 미국산 섬유소재를 사용하는 국내 완제품 생산업체들도 비용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수입 장벽이 제거되면서 고부가가치 산업용섬유와 면직물 등의 수입은 늘어날 수 있다는 점과, 고기능성.고성능 기초 소재가 낮은 가격으로 수입되면서 국내 업체들의 기초 소재에 대한 기술개발 의지가 약해질 수 있다는 점은 해결해야할 부분으로 남아 있다고 지적합니다.
기업에서 좀더 고부가가치의 차별화된 제품 위주의 생산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정부는 산업용 섬유 생산비중을 현재 25%에서 2015년까지 40%로 높이고 우리나라를 섬유소재의 글로벌 공급기지로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유망기업과 고부가가치 업종으로 구조조정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연구개발투자를 확대하고 생산 기반 또한 고도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생산 기반 고도화 어떻게 어려운 경쟁 여건에 처한 국내 섬유산업.
한미 FTA를 섬유산업 체질 강화의 계기로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한 땝니다.
KTV 국정와이드 (145회) 클립영상
- EITC 새 명칭 `근로장려세제` 47:4
- 수재민·자원봉사자, 복구 구슬땀 47:4
- 수해 서민지원 실질정보 47:4
- 장마 뒤 폭염 47:4
- 수해지역 장기지원 내년예산 반영 47:4
- 외교부, 여름철 평일 밤 10시까지 여권 발급 47:4
- 안전한 물환경 위한 위해물질 관리강화 47:4
- 6월 서비스업 활동동향 47:4
- 한미 FTA 관련 국회 특위 47:4
- 한미FTA 섬유산업 13.6% 수출확대 전망 47:4
- 한미FTA 문서공개 지침 마련 47:4
- 동원호 선원, 안전한 곳으로 이동중 47:4
- PD수첩 동원호 피랍 보도 관련 리포팅 47:4
- 매일경제신문 낙동강 발암물질 보도 관련 환경부 입장 47:4
- 창업, 5단계 시스템으로 지원한다 47:4
- 하반기 공공요금 일부조정 불가피 47:4
- 국외영주권 병사 적응 프로그램 운영 47:4
- 2분기 외국인 M&A형 직접투자 5배 늘어 47:4
- 국정원진실위, 내일 KAL, 조선 노동당 사건 발표 47:4
- 영상뉴스 47:4
- 소방방재청 브리핑 47:4
- 환경부 브리핑 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