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오해와 진실
등록일 : 2006.07.10
미니플레이
한미 FTA 협상의 제 2막이 오른 가운데 이번 협상이 졸속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등의 비판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찬반 양측 모두 윈윈하는 건설적인 논쟁을 위해서는 어떤 점들에 주목하고 어떤 시각이 필요한지, 한미 FTA를 둘러싼 `오해와 진실`을 알아봅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와 스크린쿼터 축소.
의약품 가격 인하 조치 유보와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완화.
한미 FTA 비판론자들은 정부가 이 4대 현안을 미국측에 일방적으로 양보하는 대가로 FTA 협상을 시작했다고 주장합니다.
최대 쟁점인 이른바 `4대 선결 조건` 논란의 발단입니다.
그러나 정부는 FTA와는 별개로 오랜 기간 미국측과 이 4대 현안을 논의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오랫동안 조심스레 접근해 온 통상 현안 합의가 올 상반기에 그 윤곽을 드러내게 됐다는 얘깁니다.
더구나 정부는 쇠고기 수입 재개 방침에도 불구하고, 지난 5월 미국 수출 작업장을 현장점검한 후 보완조치를 요구하며 수출 승인을 단호하게 연기하기도 했습니다.
`선결 조건`이라는 용어가 담고 있는 잠재적 피해 우려는 국민의 이익을 최우선시하는 정부의 원칙 아래 얼마든지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입니다.
또 일각에선 올 초 대통령 신년사에서 한미 FTA가 처음 거론되고 그 후 미국의 일정에 쫓겨 정부가 졸속으로 FTA 협상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과거를 잠시만 돌이켜본다면 한미 FTA가 하루 이틀의 이야기가 아니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심지어 반대측 일부에서는 정부 협상단의 자질이 의심된다는 비판까지 나왔습니다.
우리 학계 최고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FTA협상단에 대한 자질 논란은 정부에 대한 비판이 아닌 우리 학계의 수준에 대한 논란으로 이어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FTA 반대 측은 과거 미국과 FTA를 체결한 멕시코의 경제적 어려움도 전적으로 FTA 때문이라고 주장합니다.
한미 FTA는 아직 미래의 일이기 때문에 그 효과에 대한 예측이나 협상 방법 등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귀를 활짝 열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맹목적인 정부 불신론에 매몰돼 정부가 협상을 추진해 온 시간과 노력, 그 객관적인 사실과 내용들마저도 간과한다면 FTA에 대한 합리적인 대화는 존재하기 힘들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입니다.
찬반 양측 모두 윈윈하는 건설적인 논쟁을 위해서는 어떤 점들에 주목하고 어떤 시각이 필요한지, 한미 FTA를 둘러싼 `오해와 진실`을 알아봅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와 스크린쿼터 축소.
의약품 가격 인하 조치 유보와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완화.
한미 FTA 비판론자들은 정부가 이 4대 현안을 미국측에 일방적으로 양보하는 대가로 FTA 협상을 시작했다고 주장합니다.
최대 쟁점인 이른바 `4대 선결 조건` 논란의 발단입니다.
그러나 정부는 FTA와는 별개로 오랜 기간 미국측과 이 4대 현안을 논의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오랫동안 조심스레 접근해 온 통상 현안 합의가 올 상반기에 그 윤곽을 드러내게 됐다는 얘깁니다.
더구나 정부는 쇠고기 수입 재개 방침에도 불구하고, 지난 5월 미국 수출 작업장을 현장점검한 후 보완조치를 요구하며 수출 승인을 단호하게 연기하기도 했습니다.
`선결 조건`이라는 용어가 담고 있는 잠재적 피해 우려는 국민의 이익을 최우선시하는 정부의 원칙 아래 얼마든지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입니다.
또 일각에선 올 초 대통령 신년사에서 한미 FTA가 처음 거론되고 그 후 미국의 일정에 쫓겨 정부가 졸속으로 FTA 협상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과거를 잠시만 돌이켜본다면 한미 FTA가 하루 이틀의 이야기가 아니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심지어 반대측 일부에서는 정부 협상단의 자질이 의심된다는 비판까지 나왔습니다.
우리 학계 최고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FTA협상단에 대한 자질 논란은 정부에 대한 비판이 아닌 우리 학계의 수준에 대한 논란으로 이어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FTA 반대 측은 과거 미국과 FTA를 체결한 멕시코의 경제적 어려움도 전적으로 FTA 때문이라고 주장합니다.
한미 FTA는 아직 미래의 일이기 때문에 그 효과에 대한 예측이나 협상 방법 등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귀를 활짝 열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맹목적인 정부 불신론에 매몰돼 정부가 협상을 추진해 온 시간과 노력, 그 객관적인 사실과 내용들마저도 간과한다면 FTA에 대한 합리적인 대화는 존재하기 힘들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입니다.
KTV 국정와이드 (131회) 클립영상
- 서울 밤부터 태풍 영향권 48:38
- 정부 신속 대응 48:38
- 태풍 상륙 국민행동요령 48:38
- <쌀> 절대 불가 고수 48:38
- 미 대표, `한미 FTA 양국 모두에 이익` 48:38
- 한미FTA, 오해와 진실 48:38
- 우리 대표단을 적극 지원 호소 48:38
- 북 미사일 우다웨이 북한 방문, 안보리 제재 결의 예정 48:38
- 정부, `미사일` 사과 요구 방침 48:38
- 한은 총재, 물가상승 압력에 선제적 대응 48:38
- 중기특위, 中企정책정보시스템 서비스 시연회 48:38
- 자활공동체에 <무보증 창업자금> 대출 48:38
- <여성농업인 집중지원>, 전문인력으로 육성 48:38
- 한국경제 근로기준법 확대 보도 관련 노동부 입장 48:38
- 국민일보 국적관리 보도 관련 법무부 입장 48:38
- 경향신문 재산세 역전 보도 관련 행자부 입장 48:38
- 상생협력연구회, <대중소 상생의 길> 다진다 48:38
- 공기업도 안정적 퇴직연금 속속 도입 48:38
- 해외차관지원 의료기관 연체금 352억 감면 48:38
- 건설경기 최저점 근접, 보완책 필요 48:38
- 청와대, 한미FTA 여론수렴 대응팀 48:38
- 복지부, 의료기관 특별법 지원 실시 48:38
- 소방방재청 브리핑 4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