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통한 자동차산업구조 선진화 전략회의
등록일 : 2006.07.06
미니플레이
한미FTA 본격 협상을 앞두고 정부가우리 산업의 체질 개선을 위한 전략 마련에 나섰습니다.
각 지방을 순회하면서 업종별 점검을 가질 계획인데요.
6일 그 첫 순서로 국내 자동차 산업의 메카로 거듭나고 있는 전북 군산에서 자동차 분야를 집중 점검했습니다.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은 지난해를 기준으로 생산량과 수출량 모두 세계 5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오는 2015년에 세계시장 점유율을 4위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특히 미국의 자동차 시장은 우리나라보다 16배가 커 한미 FTA를 통해 우리 자동차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하지만 한미 FTA로 인해 기술력에서 다소 밀리는 국내 자동차 산업의 위축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미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자동차의 생산을 늘리는 등 자동차 산업의 선진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결국 중소형 저가 위주의 자동차 생산구조를 다각화된 구조로 전환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완성차와 부품업체의 R&D투자를 확대하고 기술협력 등 외부기술을 활용하는 개방형 혁신체계의 구축이 시급하다는 견해도 제기됐습니다.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해 자동차 산업 선진화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한편, 한미 FTA를 통한 업종별 산업구조 선진화 전략 회의는 전자와 부품소재 등을 주제로 오는 28일까지 개최됩니다.
각 지방을 순회하면서 업종별 점검을 가질 계획인데요.
6일 그 첫 순서로 국내 자동차 산업의 메카로 거듭나고 있는 전북 군산에서 자동차 분야를 집중 점검했습니다.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은 지난해를 기준으로 생산량과 수출량 모두 세계 5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오는 2015년에 세계시장 점유율을 4위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특히 미국의 자동차 시장은 우리나라보다 16배가 커 한미 FTA를 통해 우리 자동차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하지만 한미 FTA로 인해 기술력에서 다소 밀리는 국내 자동차 산업의 위축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미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자동차의 생산을 늘리는 등 자동차 산업의 선진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결국 중소형 저가 위주의 자동차 생산구조를 다각화된 구조로 전환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완성차와 부품업체의 R&D투자를 확대하고 기술협력 등 외부기술을 활용하는 개방형 혁신체계의 구축이 시급하다는 견해도 제기됐습니다.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해 자동차 산업 선진화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한편, 한미 FTA를 통한 업종별 산업구조 선진화 전략 회의는 전자와 부품소재 등을 주제로 오는 28일까지 개최됩니다.
KTV 국정와이드 (129회) 클립영상
- 청와대 한미 6자회담 틀 외교적 해결 등 49:18
- 남북관계 변화, 대화의 틀은 유지 등 49:18
- 철통 경계 이상 없다 49:18
- 안보리 대북제재 논의 ,미일 반응 등 49:18
- 미사일 영향 최소화에 재계도 노력 49:18
- 한명숙 총리, 서해교전 유가족 위로 49:18
- 현 경제상황 및 향후 전망과 기조 49:18
- 투자활성화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 49:18
- 경제시스템 선진화와 대외개방 49:18
- 서민생활 안정과 동반성장 49:18
- 경제자유구역 출범 3주년 기념행사 49:18
- 올 여름 휴가, 우리 농촌으로 떠나요 49:18
- 고위공무원단 직무 조정결과 분석 등 49:18
- 평택, 지속적인 대화 추진타이틀 49:18
- 조선일보 신문기금 보도 관련 신문발전위 입장 49:18
- 한국일보 여성인력개발계획 보도 관련 여성가족부 입장 49:18
- 한미FTA 통한 자동차산업구조 선진화 전략회의 49:18
- 한미 FTA 2차협상 대표단 간담회 49:18
- 평화적 시위문화정착 언론포럼 49:18
- 수능시험 시행 공고 49:18
- 2014평창동계올림픽 유치 슬로건 확정 49:18
- 재경부브리핑 4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