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보호원 뉴스 - 식중독을 잡아라
등록일 : 2006.07.03
미니플레이
기말고사를 연기하고 수업일수를 단축한 학교, 구내식당 대신 음식점에서 점심을 해결하는 직장인, 온 국민을 깜짝 놀라게 한 집단식중독 사고 이후 달라진 모습입니다.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식중독사고, 가정에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학교급식사고 이후 연이어 식중독사고가 보도되자 소비자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지난 해 식중독사고의 77%는 학교·회사 등 단체급식장과 음식점에서 발생했고, 가정 내 사고는 8%였습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주부 정연숙 씨는 안전 사각지대에 내몰린 급식과 외식을 줄이기 위해 최근 집에서 음식을 만드는 시간이 많아졌습니다.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장보기부터 소비자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육류·어류·야채는 신선한 것을 사고 유통기한 확인은 필수입니다.
육류나 생선은 수분이 새지 않도록 별도의 봉지에 나눠 포장하고, 특히 냉장·냉동 보관이 필요한 식품은 맨 마지막에 구입해 바로 집으로 가져와 냉장고에 넣어야 합니다.
식품을 조리할 때 칼과 도마는 육류용·어류용·야채용을 마련해 따로 사용하고, 어류·육류·계란을 다룬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합니다.
계란 껍질은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경우가 많아 금이 가거나 깨진 것은 쓰지 않는 게 좋습니다.
생선은 아가미와 내장을 제거하고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으면 상당량의 균을 줄일 수 있습니다.
얼린 육류나 생선을 해동할 때 상온에 두면 식중독균이 증식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로 옮기거나 전자레인지를 이용해야 합니다.
아이들의 경우 식사할 때는 물론 화장실을 이용하거나 놀이터에서 뛰어논 후에도 반드시 손을 씻도록 부모의 지도가 필요합니다.
식품을 청결하게 다루고, 조리한 음식은 신속하게 섭취하며, 남은 음식을 다시 먹을 때는 가열하는, 식중독 예방의 3원칙 ‘청결·신속·가열’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식중독사고, 가정에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학교급식사고 이후 연이어 식중독사고가 보도되자 소비자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지난 해 식중독사고의 77%는 학교·회사 등 단체급식장과 음식점에서 발생했고, 가정 내 사고는 8%였습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주부 정연숙 씨는 안전 사각지대에 내몰린 급식과 외식을 줄이기 위해 최근 집에서 음식을 만드는 시간이 많아졌습니다.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장보기부터 소비자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육류·어류·야채는 신선한 것을 사고 유통기한 확인은 필수입니다.
육류나 생선은 수분이 새지 않도록 별도의 봉지에 나눠 포장하고, 특히 냉장·냉동 보관이 필요한 식품은 맨 마지막에 구입해 바로 집으로 가져와 냉장고에 넣어야 합니다.
식품을 조리할 때 칼과 도마는 육류용·어류용·야채용을 마련해 따로 사용하고, 어류·육류·계란을 다룬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합니다.
계란 껍질은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경우가 많아 금이 가거나 깨진 것은 쓰지 않는 게 좋습니다.
생선은 아가미와 내장을 제거하고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으면 상당량의 균을 줄일 수 있습니다.
얼린 육류나 생선을 해동할 때 상온에 두면 식중독균이 증식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로 옮기거나 전자레인지를 이용해야 합니다.
아이들의 경우 식사할 때는 물론 화장실을 이용하거나 놀이터에서 뛰어논 후에도 반드시 손을 씻도록 부모의 지도가 필요합니다.
식품을 청결하게 다루고, 조리한 음식은 신속하게 섭취하며, 남은 음식을 다시 먹을 때는 가열하는, 식중독 예방의 3원칙 ‘청결·신속·가열’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출발! 국정투데이 (126회) 클립영상
- 해양조사선 해류조사위해 독도로 출항 48:28
- 제주도, 차별화된 지방자치 실현 기대 48:28
- 제주 특별자치도 무엇이 달라지나 48:28
- 제주특별자치도, 첨단과학기술단지 조성 48:28
-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혁신 1단계 시행 48:28
- 맞벌이 가구 소득 비맞벌이의 1.4배 48:28
- 하반기 수출 11%대 증가 전망 48:28
- 바이오디젤 상용화, 향후 연간 9만㎘ 보급 48:28
- 하반기 달라지는 제도 48:28
- 개발제한구역 개선 공청회 48:28
- 통계로 본 <여성의 삶>...경제활동비율 50% 넘어 48:28
- 밀수입 압수농산물 관리업무 농림부로 이관 48:28
- 불법사설펀드 조심하세요 48:28
- 소비자보호원 뉴스 - 식중독을 잡아라 4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