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혁신보고회, `7대 강국으로 도약`
등록일 : 2006.06.29
미니플레이
정부는 이처럼 우리나라에 딱 맞는 바이오 산업을 선진국 수준으로 육성하기 위한 청사진을 내놨습니다.
정부와 산.학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바이오 산업의 혁신을 논의했습니다.
2016년까지 국내 바이오 산업을 생산 60조원, 수출 250억 달러 규모로 키우겠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 바이오 정책의 정비와 핵심 분야에 대한 기금 마련 등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정부 내 바이오 정책 추진체계 정비하고 줄기세포와 신약 등 세부 분야별 발전 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성과에 대한 평가를 강화하겠습니다.
또 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 산업자원부와 농림부 등 관련 부처간 협력 또한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신약 개발과 뇌 연구, 줄기세포 분야 등을 집중 지원하고 이후 농업과 생물신소재 등으로 지원 분야를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특히 2005년 논문조작 파문으로 주춤했던 줄기세포 분야를 재정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0년간 4천 300억원을 지원해 오는 2015년까지 세계 3위, 전체 줄기세포 시장의 15%를 점유하겠단 복안입니다.
보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기반 마련에 대한 중요성을 특히 강조했습니다.
또 신약 개발을 위한 체계 구축도 주문했습니다.
연구개발비 투자에 대한 조세 감면과 국제기준에 대한 심사체계를 만들어달란 겁니다.
바이오 산업의 혁신을 위해 마련된 보고회에는 정부와 산.학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해 바이오 산업을 역점 전략사업으로 키울 대책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정부와 산.학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바이오 산업의 혁신을 논의했습니다.
2016년까지 국내 바이오 산업을 생산 60조원, 수출 250억 달러 규모로 키우겠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 바이오 정책의 정비와 핵심 분야에 대한 기금 마련 등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정부 내 바이오 정책 추진체계 정비하고 줄기세포와 신약 등 세부 분야별 발전 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성과에 대한 평가를 강화하겠습니다.
또 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 산업자원부와 농림부 등 관련 부처간 협력 또한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신약 개발과 뇌 연구, 줄기세포 분야 등을 집중 지원하고 이후 농업과 생물신소재 등으로 지원 분야를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특히 2005년 논문조작 파문으로 주춤했던 줄기세포 분야를 재정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0년간 4천 300억원을 지원해 오는 2015년까지 세계 3위, 전체 줄기세포 시장의 15%를 점유하겠단 복안입니다.
보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기반 마련에 대한 중요성을 특히 강조했습니다.
또 신약 개발을 위한 체계 구축도 주문했습니다.
연구개발비 투자에 대한 조세 감면과 국제기준에 대한 심사체계를 만들어달란 겁니다.
바이오 산업의 혁신을 위해 마련된 보고회에는 정부와 산.학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해 바이오 산업을 역점 전략사업으로 키울 대책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KTV 국정와이드 (124회) 클립영상
- 바이오산업, 한국에 딱맞아 50:4
- 바이오 혁신보고회, `7대 강국으로 도약` 50:4
- 노사정 합동 한국투자환경 설명회 50:4
- 정통부 정보통신산업 정책토론회 50:4
- 대중교통 지원 육성 기본계획 50:4
- 말레이시아 라부안, `조세회피지역` 지정 50:4
- 최저임금 12.3% 인상…시간급 3천480원 50:4
- 경제적 격차확대 능력, 준비 부족이 원인 50:4
- 인사위 고위공무원단 편입 대상 현황 발표 50:4
- 맞춤형 보충학습, 학원보다 나은 학교 50:4
- 신문 발행·판매부수 신고해야 50:4
- 신문법 헌재 최종 결정 <존중> 50:4
- 헌재 결정에 대한 정부 입장과 향후 계획 50:4
- 국민 보훈의식 조사 결과 50:4
- 영상뉴스-서해교전 50:4
- 김영남 기자회견 50:4
- 세계일보 준조세 보도관련 기획예산처 입장 50:4
- SBS 수입수산물검사 보도 관련 해수부 입장 50:4
- 조선일보 황금주 보도 관련 법무부 입장 50:4
- 평화적 집회 시위 참관단 운영 성과 50:4
- 순간포착 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