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중앙일보 성매매특별법 보도 관련 기자 리포팅
등록일 : 2006.06.23
미니플레이
정부가 성매매 근절을 위해 제정한 `성매매 특별법`이 성매매의 주택가 확산 등 부작용만 양상해 실패작이라는 언론의 보도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정부는 이 같은 음성화는 이전부터 문제화되고 있었고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특별법을 제정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별법 도입 후 성매매 관리가 불가능해졌다.

중앙일보는 한국경제연구원 이주선 선임연구위원이 펴낸 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성매매처벌법 보고서 내용을 인용해 이 같이 주장했습니다.

정부가 성매매 특별법을 통해 집창촌만 단속하고 제거하는 데 주력했기 때문에 오히려 성매매 거래 경로가 다양하게 갈라져 관리가 불가능해 지는 등 부작용만 커졌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여성가족부는 음성적 성매매 문제는 특별법 제정 이전부터 존재해 왔으며 이 같은 음성적 성매매를 근절하기 위해 특별법이 제장된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특히 여성부는 특별법 제정 후 변칙적인 성매매와 유사성행위 인터넷 성매매 등을 집중적으로 단속하고 있다며, 최근 성매매로 인해 검거된 572명 중 신·변종 성매매 업소나 인터넷 성매매를 통해 적발된 사람이 538명에 달한다는 경찰자료가 이 같은 내용을 뒷받침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성매매 근절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할 수 있는 성격의 문제가 아니라며 현 시점에서 성과를 논하는 것은 부적절 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