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구사업’ 이해부족
등록일 : 2006.06.21
미니플레이
지역특화사업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겠다, 바로 특구사업입니다. 사업초반 경제효과가 나타나는 사업이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사업도 있습니다.
일부 언론들이 사업적 특성을 배제한 채 가시적성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지적했습니다.
“잠자는 지역특구 많다. 24곳 중 15곳 가시적 성과 못내”
동아일보는 21일자 기사를 통해 2004년 12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선정된 24곳의 지역특구 중 15곳이 아직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재경부가 지난 20일 특구지정 후 6개월이 지난 24개 특구에 대한 운영성과를 발표하면서 이들 15개 특구가 계획대로 사업이 진행중이며 단지 현 단계에서 평가가 어렵다고 밝혔음에도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식으로 보도된 것입니다.
이에 대해, 재경부는 개별 특구사업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해 빚어진 잘못된 보도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즉, 단기투자로 즉각적인 경제효과를 볼 수 있는 사업이 있는가 하면 장기적인 투자로 효과가 나타나는 사업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재경부는 또 특구지정 운영으로 상당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거두고 있다며, 특구지역에 적용되는 규제특례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일부 언론들이 사업적 특성을 배제한 채 가시적성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지적했습니다.
“잠자는 지역특구 많다. 24곳 중 15곳 가시적 성과 못내”
동아일보는 21일자 기사를 통해 2004년 12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선정된 24곳의 지역특구 중 15곳이 아직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재경부가 지난 20일 특구지정 후 6개월이 지난 24개 특구에 대한 운영성과를 발표하면서 이들 15개 특구가 계획대로 사업이 진행중이며 단지 현 단계에서 평가가 어렵다고 밝혔음에도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식으로 보도된 것입니다.
이에 대해, 재경부는 개별 특구사업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해 빚어진 잘못된 보도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즉, 단기투자로 즉각적인 경제효과를 볼 수 있는 사업이 있는가 하면 장기적인 투자로 효과가 나타나는 사업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재경부는 또 특구지정 운영으로 상당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거두고 있다며, 특구지역에 적용되는 규제특례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KTV 국정와이드 (118회) 클립영상
- 해저지명소위원회 한국 위원 진출 49:37
- 학생부 반영율 높아지면 외고 대입전형에 불리 49:37
- 사학의 투명성, 건전성 높인다 49:37
- 한국고용정보원, 국가고용정보 ‘인프라’로 49:37
- 김대중 전 대통령 방북 연기 49:37
- 기록 사진으로 본 해방·전쟁·생활상 49:37
- 장수 하려면 ‘소식·금연·금주’ 49:37
- 장마 대비 이렇게 49:37
- 대외경제위원회, ‘FTA협상 조급하지 말아야’ 49:37
- 한미 재계, FTA 성공적 타결 지지 49:37
- 한미 FTA, 능동적 개방 VS 준비 부족 49:37
- 시장접근 확대 VS 준비된 개방 필요 49:37
- 출범 1주년 맞은 여성가족부 49:37
- 노숙 여성을 위한 일·문화 사랑방 개소 49:37
- 에너지다소비사업, 에너지 진단 의무화 49:37
- 경향신문 재정건선성 보도 관련 재경부 입장 49:37
- KBS 홍수위험지도 보도 관련 건교부 입장 49:37
- ‘특구사업’ 이해부족 49:37
- 순간포착 49:37
- 한일 교통협의회 수석대표 회의 4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