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지구촌 혁신도시 벤치마킹
등록일 : 2006.06.19
미니플레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혁신도시 개발, 아무래도 해외의 성공사례들을 `타산지석`으로 삼으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세계적인 혁신도시 성공사례를 모은 국제 세미나가 20일부터 열립니다.

혁신도시 기본 구상을 다음달 중에 마무리할 예정인 정부는 이들 도시의 개발전략과 성공요소를 십분 수렴할 예정입니다.

미국 동부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노스캐롤라이나주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 지역 내 대학 특성을 이용한 첨단기술복합체로 조성돼 2005년 포브스지에서 사업과 커리어를 위한 최고의 장소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스웨덴 스톡홀름시의 인구과밀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한 시스타 신도시. 최대자본가인 발렌버그 가문과 거대기업 에릭손, 스웨덴 정부가 손잡고 첨단산업 입주 환경까지 조성하면서 400개 기업과 2만6천명 이상의 고용인력이 연구개발활동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1991년 말레이시아가 국가 장기계획으로 추진 중인 첨단정보기술도시 사이버자야와 신행정도시 푸트라자야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이같이 혁신도시의 성공사례로 꼽는 세계 각국의 개발 전략이 국내에 소개됩니다.

혁신도시 개발전략 국제 세미나에는 해외 도시분야 전문가와 정부, 지자체 공무원, 관련 기관과 학계가 참석해 도시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개발전략과 성공요소 등을 논의하게 됩니다.

이번 세미나를 기획한 국토연구원은 각국의 성공적인 혁신도시 벤치마킹뿐 아니라 정부, 지자체, 산학연 간 클러스터의 중요성도 알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편 우리나라는 해외 벤치마킹 결과를 토대로 10개 혁신도시 밑그림인 기본구상을 다음달 중 마무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발계획을 수립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