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제비 적정화 방안, FTA 협상대상 아니다
등록일 : 2006.06.16
미니플레이
다국적 제약회사들이 정부의 약제비 적정화 방안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 역시 같은 입장이어서 FTA에서 결국 양보하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입장은 단호합니다.
“국민복지의 근간을 훼손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약제비 적정화 논란에 대한 정부의 입장입니다.
약효가 있는 약에만 건강보험을 적용하겠다는 정부의 방안에 현재 미국은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신약개발의 지적재산권 보장을 위해 이를 철폐하라는 겁니다.
그러나 정부는 약제비 적정화 방안은 양보할 수 없는 마지노선이란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
약제비 적정화 방안은 관세 철폐 등을 골자로 하는 FTA의 내용이 될 수 없다는 겁니다.
이같은 논란은 양국의 확연한 입장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미국은 다국적 제약회사의 신약개발을 보장해 손해를 보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많은 국민들이 싼 값에 의약품을 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미 FTA에서 이 내용 자체를 넣지 않는 방향으로 협상을 이끌어 가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남은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약제비 적정화 방안의 철회를 요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국민들의 건강과 직결된 정책인 만큼 설득력은 떨어진다는 게 전반적인 평가입니다.
그런데 미국 역시 같은 입장이어서 FTA에서 결국 양보하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입장은 단호합니다.
“국민복지의 근간을 훼손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약제비 적정화 논란에 대한 정부의 입장입니다.
약효가 있는 약에만 건강보험을 적용하겠다는 정부의 방안에 현재 미국은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신약개발의 지적재산권 보장을 위해 이를 철폐하라는 겁니다.
그러나 정부는 약제비 적정화 방안은 양보할 수 없는 마지노선이란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
약제비 적정화 방안은 관세 철폐 등을 골자로 하는 FTA의 내용이 될 수 없다는 겁니다.
이같은 논란은 양국의 확연한 입장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미국은 다국적 제약회사의 신약개발을 보장해 손해를 보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많은 국민들이 싼 값에 의약품을 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미 FTA에서 이 내용 자체를 넣지 않는 방향으로 협상을 이끌어 가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남은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약제비 적정화 방안의 철회를 요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국민들의 건강과 직결된 정책인 만큼 설득력은 떨어진다는 게 전반적인 평가입니다.
KTV 국정와이드 (115회) 클립영상
- 평화 정상회의 시작 47:32
- 6.15 통일대축전 폐막 47:32
- 저출산·고령화, 사회협약문 잠정 채택 47:32
- UN ESCAP ICT 센터 개소 47:32
- IT 국제표준 외교 본격 돌입 47:32
- ‘어르신 정보화 제전‘ 열어 47:32
- 승용차 끝자리 요일제, `장관도 예외없다` 47:32
- 쿨비즈 캠페인, 공직사회가 앞장 47:32
- 올 하반기부터 신용보증기관 특례보증제 도입 47:32
- 정부 전부처 복식부기 회계 시험운용 47:32
- 한중 항공회담 결과 발표 47:32
- 건설교통 세일즈외교 - 김용덕 차관 47:32
- 약제비 적정화 방안, FTA 협상대상 아니다 47:32
- 모든 농산품별 상이한 단계 개방 47:32
- FTA 대비 축산부문 미국 현지 실사 47:32
- 서울신문 골프회원권 보도 관련 행자부 입장 47:32
- 한겨레 화성호오염 보도 관련 환경부 입장 47:32
- 서울경제신문 지자체규제 보도 관련 국무조정실 입장 47:32
- 고충처리위원회, 외국인 노동자 고충 상담 47:32
- 도심 노후지역 개발 다음달 본격화 47:32
- 한국 우주인 신청자 3만명 돌파 47:32
- 2007년 독도 구간 요트 경기 추진 47:32
- 한·중 항공회담 결과 - 건설교통부 브리핑 4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