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한국, 섬유시장 조기개방 강력 요구
등록일 : 2006.06.09
미니플레이
한미 FTA 1차 협상이 막바지에 이르고 있습니다.

나흘째 협상에서 한미 양측은 섬유분야에서 상당한 의견차를 확인했습니다.

우리 대표단은 미국측에 섬유시장 조기 개방과 무역구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FTA 1차 협상 나흘째인 6월 9일 한미 양국은 섬유와 농업, 상품무역, 의약품 등 4개 분과와 의료기기 작업반에 대한 협상을 끝냈습니다.

하지만 농업, 위생검역 분야에 이어 섬유분야도 양측의 입장차가 명확히 확인됐습니다.

김종훈 수석대표는 협상 후 브리핑을 통해 섬유분과 협상에서 우리는 공세적인 입장을, 미국은 수세적 입장을 취해 통합협정문 마련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섬유분과 협상에서 우리는 합리적인 원산지 규정 적용과 신속한 관세 철폐를 강하게 요구한 반면, 미국은 섬유산업이 정치적 산업적으로 민감하다면서 자국산업 보호를 위한 긴급수입제한조치, 즉 세이프 가드를 유지해야 한다고 맞섰습니다.

의약분야의 경우 우리는 건강보험제도의 건전성 유지가 우선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반면, 미국은 좋은 약품에 대한 환자의 접근성이 확보돼야 하고 신약 개발의 여건이 조성돼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 다음달 있을 2차 협상에서 논의를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김종훈 수석대표는 무역구제 분과에 참석해 미국의 반덤핑제도와 상계관세제도로 우리 업체들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FTA로 인한 자유무역 이익이 크게 상쇄될 것이라며 강력한 개선을 요구했습니다.

일단 양국의 의견차를 확인한 만큼 섬유분야는 다음달 이어질 2차 협상에서 본격적인 공방이 시작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