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포커스 (심층취재)
등록일 : 2006.06.09
미니플레이
지난해부터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BSC제도 도입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경찰에서도 BSC를 기반으로 한 성과관리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다고 합니다.
보다 양질의 치안서비스 제공을 위해 조직의 성장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찰의 성과관리 제도를 살펴봤습니다.
지난해부터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시작된 BSC기반 성과관리시스템이 최근 경찰에도 도입되어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난해 경찰청 성과관리 모델을 구축해 올해 1월 시범 평가를 마쳤으며, 내년부터 각 지방청, 경찰서, 지구대, 파출소까지 평가할 수 있도록 종합 성과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경찰의 성과관리시스템은 합리적 평가를 위해 BSC 즉, 균형성과표를 그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균형성과표는 조직의 성과를 기존의 재무적 결과로 평가하는 대신 개인의 역량과 고객만족도, 조직의 성장 등을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또 목표치를 달성한 개인과 부서에는 충분한 보상을 제공하게 돼 보다 적극적인 치안활동을 유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경찰은 BSC기반 치안 종합성과관리체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도록 경찰청을 대상으로 한 시범 모델의 문제점을 분석해 올 해 6월까지 보완할 계획입니다.
이후 경찰서 등 각 관서별 표준모델을 개발한 후 치안 종합성과관리 시스템을 전국으로 확산시켜 내년 1월부터 본격적인 운영과 제도 정착에 나설 계획입니다.
경찰은 또 BSC 전산관리 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습니다.
모든 직원이 각 부서의 성과관리 수준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고 성과 달성 정도에 따른 성과신호등과 등급을 통해 향후 업무 추진시 반영토록 했습니다.
BSC기반 치안 종합성과관리 시스템은 경찰 각 부서의 치안 임무를 명확히 제시해 치안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업무 성과와 역량에 따라 공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밖에 성과평가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온라인 평가단을 운영하도록 하고 관서, 부서, 기능, 개인평가 등 다양한 평가기준을 설정하도록 했습니다.
본 시행 전까지 치안 종합성과관리 체계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보완을 통해 성과관리 시스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길 기대해봅니다.
보다 양질의 치안서비스 제공을 위해 조직의 성장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찰의 성과관리 제도를 살펴봤습니다.
지난해부터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시작된 BSC기반 성과관리시스템이 최근 경찰에도 도입되어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난해 경찰청 성과관리 모델을 구축해 올해 1월 시범 평가를 마쳤으며, 내년부터 각 지방청, 경찰서, 지구대, 파출소까지 평가할 수 있도록 종합 성과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경찰의 성과관리시스템은 합리적 평가를 위해 BSC 즉, 균형성과표를 그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균형성과표는 조직의 성과를 기존의 재무적 결과로 평가하는 대신 개인의 역량과 고객만족도, 조직의 성장 등을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또 목표치를 달성한 개인과 부서에는 충분한 보상을 제공하게 돼 보다 적극적인 치안활동을 유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경찰은 BSC기반 치안 종합성과관리체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도록 경찰청을 대상으로 한 시범 모델의 문제점을 분석해 올 해 6월까지 보완할 계획입니다.
이후 경찰서 등 각 관서별 표준모델을 개발한 후 치안 종합성과관리 시스템을 전국으로 확산시켜 내년 1월부터 본격적인 운영과 제도 정착에 나설 계획입니다.
경찰은 또 BSC 전산관리 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습니다.
모든 직원이 각 부서의 성과관리 수준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고 성과 달성 정도에 따른 성과신호등과 등급을 통해 향후 업무 추진시 반영토록 했습니다.
BSC기반 치안 종합성과관리 시스템은 경찰 각 부서의 치안 임무를 명확히 제시해 치안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업무 성과와 역량에 따라 공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밖에 성과평가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온라인 평가단을 운영하도록 하고 관서, 부서, 기능, 개인평가 등 다양한 평가기준을 설정하도록 했습니다.
본 시행 전까지 치안 종합성과관리 체계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보완을 통해 성과관리 시스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길 기대해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