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에도 서비스업 호조, 물가 안정세
등록일 : 2006.06.01
미니플레이
통계청은 서비스업 생산이 계속 상승하는 만큼 소비경기가 회복세를 이어가고 물가 안정세도 이 흐름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고유가에 따른 경기 하락 논란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 생산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소비자 물가도 안정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이 증가세를 이어가며 소비경기가 호조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통계청은 지난달 서비스업 생산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0% 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계절요인을 감안해 전 달과 비교한 계절조정 전월비도 0.7%가 늘어나 최근의 증가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금융 및 보험업이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급락세를 거듭하던 주가가 반등한 것이 크게 작용했습니다.
휴대폰 보조금 부활로 소비자들의 휴대폰 구매가 늘면서 통신업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 늘었습니다.
부동산 임대업은 전 달에 비해 0.9% 감소했지만 부동산 공급업, 부동산 중개등에서 증가해 여전히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서민들의 체감경기를 알아볼 수 있는 숙박 및 음식점업은 지난달보다 증가폭이 커져 3.4% 증가했고, 민간소비를 대표하는 도, 소매업도 증가폭은 둔화됐지만 여전히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증가폭이 둔화된 것은 고유가로 자동차 판매와 차량연료 소매가 줄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반면 백화점과 대형할인점, 사이버쇼핑몰 등 소매업은 지난달보다 증가폭이 커져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
5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4% 올라 2%대를 유지하며 안정세를 유지했습니다.
채소류, 과실류 등의 출회 증가로 농축산물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 하락했지만 유가상승에 따른 석유류와 의복류, 화장품 등 공업제품은 3.5% 올랐습니다.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을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 올라 안정세를 이어갔습니다.
고유가에 따른 경기 하락 논란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 생산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소비자 물가도 안정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이 증가세를 이어가며 소비경기가 호조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통계청은 지난달 서비스업 생산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0% 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계절요인을 감안해 전 달과 비교한 계절조정 전월비도 0.7%가 늘어나 최근의 증가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금융 및 보험업이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급락세를 거듭하던 주가가 반등한 것이 크게 작용했습니다.
휴대폰 보조금 부활로 소비자들의 휴대폰 구매가 늘면서 통신업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 늘었습니다.
부동산 임대업은 전 달에 비해 0.9% 감소했지만 부동산 공급업, 부동산 중개등에서 증가해 여전히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서민들의 체감경기를 알아볼 수 있는 숙박 및 음식점업은 지난달보다 증가폭이 커져 3.4% 증가했고, 민간소비를 대표하는 도, 소매업도 증가폭은 둔화됐지만 여전히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증가폭이 둔화된 것은 고유가로 자동차 판매와 차량연료 소매가 줄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반면 백화점과 대형할인점, 사이버쇼핑몰 등 소매업은 지난달보다 증가폭이 커져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
5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4% 올라 2%대를 유지하며 안정세를 유지했습니다.
채소류, 과실류 등의 출회 증가로 농축산물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 하락했지만 유가상승에 따른 석유류와 의복류, 화장품 등 공업제품은 3.5% 올랐습니다.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을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 올라 안정세를 이어갔습니다.
KTV 국정와이드 (105회) 클립영상
- 행정자치부, 균형발전 정책 총괄 47:54
- 정부도 ‘기업식 회계’ 도입 47:54
- 5월 수출 280억달러로 사상최대 기록 47:54
- 세계경조 호조, 우리 경제 전망 어둡지 않다 47:54
- 강남구 아파트 평당가, 7개월만에 하락 47:54
- 평택, 하반기부터 본격 개발 47:54
- 총리 책임장관회의, 감사원 올해 회계보고 47:54
- 민관, ‘한미 FTA 필요성’한목소리 47:54
- 한국일보 ‘음식물쓰레기’ 보도 관련 환경부 입장 47:54
- 서울신문 ‘문화재 관리’ 보도 관련 문화재청 입장 47:54
- 국민일보 ‘방과후 학교’ 보도 관련 교육부 입장 47:54
- 고유가에도 서비스업 호조, 물가 안정세 47:54
- 30세 이상, 심·뇌혈관 건강 `빨간불` 47:54
- kedo 경수로 사업 종료 47:54
- 정보문화의 달 기념식, 디지털 봉사단 출범 47:54
- 식품산업 궁금증 상담 , 사이버센터 개소 47:54
- 국제해사기구의 해상안전분야 감사 대응계획 47:54
- 인천공항 세관 성공사례 47:54
- 전문대 특성화 지원사업 평가 결과 47:54
- 2007학년도 모의수능 실시 47:54
- 대중소기업 동반시장 해외진출 협약식 47:54
- 소방방재청 개청 2주년 홍보대사 위촉 47:54
- 정부-IMF, 연례협의 시작 47:54
-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브리핑 4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