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에 대한 신정책기조는 상호 이해와 존중
등록일 : 2006.05.26
미니플레이
앞서 보신 바와 같이 우리 정부가 외국인과 더불어 사는 열린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외국인정책위원회를 만들었습니다.
우리 정부가 세계화 다문화 사회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외국인과 함께 사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팔을 걷어부쳤습니다.
17개 관계부처 장관과 민간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1회 외국인정책회의는 이런 정부의 의지를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단일민족국가로써 외국인을 접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대한민국.
하지만 그간 우리는 많은 변화를 거쳤습니다.
노동시장의 개방으로 외국인 근로자가 많이 늘었고 농촌을 중심으로 한 국제결혼 가정도 늘어나 이제 피부색이 다른 이웃을 만나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이미 우리나라 인구의 1.7%는 외국인입니다.
여기에 늘어나는 결혼이민자 2세들까지 합하면 그 수치는 더 증가합니다.
정부는 이런 사회환경 변화의 중요성을 인식해 외국인정책위원회를 설립했습니다.
외국인과 관련한 사회적 갈등 요인을 해소하고 외국인에 대한 차별과 처우 문제를 개선하겠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외국인에 대한 정책 기조가 통제와 관리 중심에서 상호 이해와 존중으로 전환됐다는 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
외국인정책위원회가 출범함으로써 학계, 시민단체, 관계부처의 참여하에 실효성 있는 외국인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외국인정책위원회는 여섯 개의 추진 과제를 선정했습니다.
외국적 동포에 대한 차별 해소, 결혼 이민자 2세와 외국인 여성 보호 및 정책 지원, 난민안정 절차 개선 및 지원 방안 마련, 외국인 근로자 관련제도 정비, 불법체류외국인 인권보호, 외국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환경 조성.
이 모든 정책들이 외국인에 대한 이해와 존중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피부색깔로 차별받지 않고 모두가 어우러지는 사회. 이제 우리도 만들어야 합니다.
우리 정부가 세계화 다문화 사회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외국인과 함께 사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팔을 걷어부쳤습니다.
17개 관계부처 장관과 민간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1회 외국인정책회의는 이런 정부의 의지를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단일민족국가로써 외국인을 접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대한민국.
하지만 그간 우리는 많은 변화를 거쳤습니다.
노동시장의 개방으로 외국인 근로자가 많이 늘었고 농촌을 중심으로 한 국제결혼 가정도 늘어나 이제 피부색이 다른 이웃을 만나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이미 우리나라 인구의 1.7%는 외국인입니다.
여기에 늘어나는 결혼이민자 2세들까지 합하면 그 수치는 더 증가합니다.
정부는 이런 사회환경 변화의 중요성을 인식해 외국인정책위원회를 설립했습니다.
외국인과 관련한 사회적 갈등 요인을 해소하고 외국인에 대한 차별과 처우 문제를 개선하겠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외국인에 대한 정책 기조가 통제와 관리 중심에서 상호 이해와 존중으로 전환됐다는 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
외국인정책위원회가 출범함으로써 학계, 시민단체, 관계부처의 참여하에 실효성 있는 외국인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외국인정책위원회는 여섯 개의 추진 과제를 선정했습니다.
외국적 동포에 대한 차별 해소, 결혼 이민자 2세와 외국인 여성 보호 및 정책 지원, 난민안정 절차 개선 및 지원 방안 마련, 외국인 근로자 관련제도 정비, 불법체류외국인 인권보호, 외국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환경 조성.
이 모든 정책들이 외국인에 대한 이해와 존중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피부색깔로 차별받지 않고 모두가 어우러지는 사회. 이제 우리도 만들어야 합니다.
KTV 국정와이드 (102회) 클립영상
- `외국인정책기본법` 제정 48:35
- 외국인에 대한 신정책기조는 상호 이해와 존중 48:35
- 다문화가정지원 실천사례 나눔대회 48:35
- 이라크 어린이 한국 수술후 감사 방한 48:35
- 노무현 대통령, “한국와서 사업하는 사람 성공해야” 48:35
- 바다의 날 기념식 `깨끗한 바다 밝은 미래` 48:35
- 강남3구 재건축 하락,주택수급 대변화 48:35
- 부동산 실거래가 등기신고 문답 48:35
- 거품 꺼지기 마련,시장 안정 지속 될 것 48:35
- 한중일 회의체 제안과 한일 대륙붕개발제안 48:35
- 새만금 연결후 환경변화 합동조사 48:35
- 정보통신 정책부문 국제협력 모색 48:35
- 국민일보 민간기업 보육시설 보도 관련 노동부 입장 48:35
- 서울신문 국경간 금융개방 보도 관련 재경부 입장 48:35
- 일부 언론의 부동산정책 과장보도, 신뢰의 위기 자초 48:35
- 대다수 기자 개정 신문법 취지에 동의 48:35
- 불공정거래 현장 직권조사로 제재 강화 48:35
- 정부회계도 일반기업처럼 바뀐다 48:35
- 전자정부, `사용자 편의가 가장 중요` 48:35
- 하계 한국 대학생 해외봉사단 발대식 48:35
- 새만금방조제 끝막이 공사 이후 농림부브리핑 48:35
- 경제정책조정회의 후 브리핑 4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