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초격차 기술 확보···차세대 인력 양성 [뉴스의 맥]
등록일 : 2023.03.15
미니플레이
최대환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는 국가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논의가 이어졌는데요.
최유선 기자와 자세히 살펴봅니다.
회의 안건이 크게 두 가지입니다.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계획으로 나뉘었는데 그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해보죠.

최유선 기자>
네, 일단 이번 회의는 첨단산업이 국가의 경제 버팀목이자 국가 안보 자산이라는 대통령의 인식에서 시작됐는데요.
지난 2월 1일 반도체 소재 제조업체를 찾은 윤석열 대통령이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쳐야 한다" 이런 발언을 했습니다.
그리고 한달 여만에 정부의 지원책과 기업의 투자액이 공개된건데요.
윤 대통령은 회의 마무리 발언에서 첨단산업은 "서두르지 않으면 안 된다"면서 신속한 추진을 강조했습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미래차 그리고 로봇 이렇게 6대 핵심 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한 민간 투자와 정책적 뒷받침이 이뤄지고요.
첨단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15개의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이 발표됐습니다.

송나영 앵커>
전 세계적으로 첨단산업 경쟁이 심화되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면서 반도체 메가클러스터 조성 등이 포함됐는데요.
다른 업종은 어떤 정책이 추진되나요?

최유선 기자>
일단 초격차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R&D 지원이 이뤄집니다.
디스플레이는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서 신규 패널시설 투자나 장비 제작자금에 정책금융 9천억 원이 지원되고요.
이차전지도 2030년까지 20조 원 규모의 민관 투자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로봇도 2조 원 이상 투입하면서 핵심기술을 확보합니다.
첨단산업의 도약을 위해서는 전문 인력도 중요한데요.
정부는 맞춤형 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습니다.
디스플레이 분야는 2032년까지 차세대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현장인력 등 9천 명을 양성합니다.
바이오는 대규모 실습 시설을 활용해 매년 2천 명 이상, 미래차는 2030년까지 소프트웨어 인력 등 융합인력 3만 명을 키워내는 데 집중할 계획입니다.

최대환 앵커>
이런 첨단산업의 생산 거점을 전국 곳곳에 조성하고 기업 투자를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방안도 발표됐습니다.
무려 15곳인데, 이렇게 많은 곳을 새로 조성하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최유선 기자>
물론, 산업단지가 이미 있습니다.
하지만 첨단산업에 필요한 인프라가 부족하고 산업생태계 구성도 어려운데요.
반도체의 경우 대규모 용수와 전력이 필요하고, 원자력 관련 산업은 원자력 밀집 지역에 부지를 조성해야 하는데 기존 단지는 부지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정부는 지역별 주력산업을 고도화하고 입지를 공급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을 추진하는 건데요.
선도 기업과 소부장 기업이 지리적으로 근접한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술이나 정보 이동이 자유롭게 이뤄지고 외국 기업이 들어올 경우 해외 기술도 접목될 수 있어서 이점이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송나영 앵커>
네, 첨단산업 초강대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 잘 추진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178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