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10월의 독립운동가 ‘'이 탁 선생' 선정
등록일 : 2015.10.19
미니플레이

국가보훈처는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의로움과 대담성을 겸비한 이 탁 선생을 선정했습니다.

이 탁 선생은 매국 7적을 응징할 목적으로 결사대를 조직하는 등 항일투쟁을 이어갔습니다.

유한권 국민기자의 보도입니다.

1889년 평안남도 평원군에서 태어난 이 탁 선생은 평생 독립운동에 헌신했습니다.

그 는 1908년 평양 대성학교에서 안창호 선생으로 부터 민족 교육을 받은 것이 독립운동의 계기가 됐습니다.

신민회에 가입한 선생은 북만주 일대에서 독립군기지를 물색하고 1910년 경술국치 이후 만주로 망명해 신흥강습소 설립에 참여했습니다.

한상도 교수 / 건국대학교 사학과

대농가 지주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움 없이 살 수 있었으나, 목숨 바쳐 독립투쟁에 참여한 선생의 애국정신을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1917년 5월 의병장 이진룡이 체포되자 선생은 그의 부하들을 모아 항일 투쟁을 이어갔습니다.

1919년 선생은 광무제 국장에 참석하는 매국 7적을 응징할 목적으로 ‘27결사대’를 조직해 서울로 잠입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게 되자 격문을 배포하며 항일투쟁을 전개했습니다.

양성인 상병 / 육군특수전사령부 공수특전여단

특별휴가를 맞아 독립기념관을 찾았습니다. 이달의 독립운동가 이탁 선생을 보고 군인 정신이 더욱 투철해졌습니다.

1920년 만주로 돌아온 선생은 대한청년단연합회를 조직하고 임시정부 군사기구인 광복군총사령부 참모장과 동삼성외교위원장에 임명됩니다.

같은 해 7월, 미국 의원단 내한 때 선생은 안경신 선생을 비롯한 3개의 결사대를 국내로 파견해 평남도청을 폭파하는 등 독립의지를 전 세계에 알렸습니다.

옥주연 학예연구사 / 천안독립기념관

만주에서 독립운동단체 통합에 노력하신 선생은 국내에 결사대를 파견 하는 등, 문무를 겸비해 진정한 독립운동 지도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선생은 만주의 독립운동 단체 통합에 큰 역할을 했고 1929년에는 임시의정원 만주·간도지방 대표로 선임돼 독립투쟁을 이어갔습니다.

선생은 한인사회의 안정과 인재양성을 위해 안창호 선생이 추진한 ‘이상촌(理想村) 건설’ 사업에 주역을 맡길 정도로 자신보다 동지들을 지극히 경애했다고 합니다.

정부는 1930년 상해에서 42세에 생을 마감 할 때까지 평생 독립운동에 헌신한 선생의 공적을 기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습니다.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된 선생의 삶을 담은 특별 사진전이 열리고 있는 천안 독립기념관과 서대문형무소에는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유한권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