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청년취업난 극복을 위한, '산학협력 5개년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대학원생의 창업을 집중 지원하고, 취업이 보장되는 '사회맞춤형' 학과의 정원이 크게 늘어납니다.
여정숙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정부가 2020년까지 1조 2척원을 투입해 산학협력 일자리 5만개를 창출할 계획입니다.
그동안의 산학협력 정책이 주로 대학생의 취업과 창업에 주력했다면 이번 계획은 대학원생 창업과 문화 예술 콘텐츠로 대상을 확대한 점이 특징입니다.
sync> 배성근 교육부 대학정책실장
"대학원과 문화·예술콘텐츠 및 서비스 분야로 산학협력의 저변을 확대하고, 우리 학생들이 글로벌로 치고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글로벌 산학협력을 통해서 해외 취·창업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정부는 석박사 연구원의 기술창업이 성공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연구원의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는 '실험실 창업'을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학생들이 창업활동을 통해 스스로 일자리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대학창업펀드'를 조성해 우수 사업아이템을 가진 학생이 실제 창업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대학이 보유한 특허 등을 사업화하는 대학기술지주회사 범위도 기술분야에서 문화·예술 콘텐츠와 서비스 분야까지 넓히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현재 대학지주회사와 자회사에서 천 240명을 고용했던 것에서 2020년에는 약 5천명을 고용해 3천 700여개의 일자리가 더 생길 것으로 정부는기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졸업생의 취업을 보장하거나 우대 채용하는'사회맞춤형 학과' 정원도 현재의 5배 수준인 2만 5천명으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또 공학교육 혁신을 위해 공학교육인증자에게는 기술사 1차 시험을 면제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ktv 여정숙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830 (2016~2018년 제작) (53회) 클립영상
- "새로운 국회 탄생해야…소중한 한 표 꼭 행사" 02:08
- "북한의 어떠한 분열책동에도 단호 대응" 02:09
- "참여하는 국민만이 그 힘 발휘할 수 있어" 02:14
- 4.13총선 'D-1'…투표 유의사항은? 01:51
- "반드시 투표" 66.6%…투표 독려 이벤트 풍성 01:51
- 대학원생 창업 지원… 5년간 5만 개 일자리 창출 02:25
- 교육부 "전교조 '416교과서' 수업 엄정 대응" 01:38
- 한미 원자력 고위급위원회 모레 서울서 첫 회의 01:47
- '내집연금 3종세트' 25일부터 가입 가능 00:46
- 뉴질랜드 갱단, 우연히 마주친 신혼부부와 함께 '찰칵' [글로벌 M] 04:48